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알려줬다. 그 뒤 나는 오랫동안 그들에 대한 책을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아시아
를 여행하는 동안 틈만 나면 ‘종의 기원’을 탐독했고, 나는 시라는 나만의 방식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쓸 수 있었다.대니얼 데닛1942년 출생. 세계적인 과학철학자. 진화생물학과 인지과학을 주로 연구한다. 현재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끌어왔다. 하지만 2008년 2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다차원분광팀이
아시아
최초로 다차원분광기 개발에 성공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하 박사는 “현재 고려대 화학과 연구팀과 1차원분광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변형과정을 분석한 뒤 차원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 ...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원 결과라고 주장한다.풍산자가 들려주는 고등학교 1학년 수학 이야기임해오 지음 | 동
아시아
| 316쪽 | 1만 3000원‘풍산자 수학’ 시리즈로 학생들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저자가 중학교 졸업생들과 수학에 고전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위해 쓴 고교 수학 입문서. 수학공부에서 중요한 건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남 단장은 전 세계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다. 남 단장은 국제 생무기화학회(SBIC)에서
아시아
국가 대표를 맡고 있으며 최근 5년 동안 국제 학술회의에서 기조강연 10회를 포함해 초청 강연 40회를 하며 전 세계에 한국 과학계의 위상을 높이는데 앞장서고 있다.하지만 남 단장이 미국 LA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운도 좋았다. 당시 생테치엔 에콜데민 그랑제콜의 한국인 교수 한우석 박사의 도움으로
아시아
는 물론 세계에서 명문대로 꼽히는 서울대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무엇보다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혁신적이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새로운 문화와 새로운 연구방식 그리고 새로운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성능을 낼 수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과 협력해 구경 2500㎞에 달하는 동
아시아
전파관측망을 완성할 계획이다. 더 높은 곳을 향해최고의 구경을 갖췄다고 끝이 아니에요. 지구에는 천체 관측을 가로 막는 방해꾼이 많거든요. 도시의 불빛, 두꺼운 대기, 구름, 바람 등이 모두 천체 관측을 ... ...
2008년 세계를 뒤든흔 과학 Big 5!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이어 세 번째로 성공한 거지.그런가 하면 인도는 일본의 가구야, 중국의 창어 1호에 이어
아시아
에서 세 번째로 달 탐사위성‘찬드라얀 1호’를 발사했어. 이 우주선은 앞으로 2년 동안 달 주위를 돌며 표면을 관측하고 지질 조사를 할 예정이야.한편 지난해 8월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으악! 벽에서 물고기가 튀어나왔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뜯어말린다.“진정하고 설명을 들어 봐요. 공기로도 숨을 쉬는 물고기가 있어요.
아시아
에 사는 등목어류는‘상새기관’이라는 보조 호흡기관을 이용해 공기로 숨을 쉴 수 있어요. 상새기관에는 점막이 있고 그 아래에핏줄이 지나가는데, 공기로부터 직접 산소를 혈관으로 흡수하죠.”차쿠는 믿을 ... ...
“내 안에 지진해일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004년에 거대한 지진해일이 동남
아시아
를 덮치는 재해가 있었습니다. 무려 2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지요. 태국의 출랄롱코른대학교와 미국지질학연구소 연구팀은 이 때 많은 피해를 입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을 비롯한 150여곳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습지를 이루고 있는 지층에서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한 종류의 생물로 알려져 있던 생물이 여러 종의 다른 생물로 밝혀지기도 한다. 동남
아시아
에 사는 구름표범은 최근 DNA 검사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종으로 나누어졌다. 실제로 확인 결과 두 종류의 표범은 무늬도 달랐다. 자세히 관찰했다면 알 수 있었을 차이를 같은 종이라는 선입관 때문에 못 보고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