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설명해주는 훌륭한 모형이지만, 아직 궁극적인 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20세기 후반 등장한 ‘초끈이론’은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전개한 이론으로 미완성이지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초끈이론은 우주를 이루는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끈’이라고 생각하는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대로인 채 몸의 크기가 2배 작아진다면 근육의 단면적은 4배 작아지고, 힘의 세기도 4배로 준다. 1. 폴 사프라넥(맷 데이먼)은 다운사이징 이후 화려한 삶을 누리고 있다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은 뒤 시술을 결심한다.2. 몸집만한 노란색 장미를 든 사프라넥. 소인국의 세상에는 현실세계의 물건을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를 생각해내는 건 굉장히 어렵습니다. ‘카르단 그릴’이라고 불리는 이 암호는 16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제안한 방법입니다. 암호 해독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카르다노가 이 암호를 제안했겠죠? 카르다노는 3차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법을 발견하고, 제곱하면 음수가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마드리드 CF를 뽑을 것입니다. 팬심을 제외하고 말이죠. 실제로 국제 축구연맹이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클럽이기도 하며, 별들의 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유럽 축구 연맹 챔피언스 리그의 최다 우승팀이기도 합니다. 무려 12번이나 챔피언 자리를 차지했지요. 스페인 프로축구 1부 리그인 라리가에서도 3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운반하는 프로젝트예요. 운반된 빙하 코어는 남극에 위치한 영하 54℃의 동굴 속에 수 세기 동안 저장될 예정이랍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두 번의 빙하 시추에 성공했어요. 2016년 8월, 알프스 산맥에 있는 몽블랑 산의 콜뒤돔 빙하에서 길이 126m 정도의 빙하 코어를 뽑아내는 데 성공했지요. 지난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작아 오차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었답니다. 가설2) 영혼은 음의 질량을 갖는다?! 18세기의 화학자들은 물질이 불에 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음의 질량을 갖는 물질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독일의 화학자 베허와 슈탈 등은 이 물질을 ‘플로지스톤’ 또는 ‘열소’라고 불렀지요. 이들은 물질이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석회석 조각으로 동굴 벽에 그날 잡은 짐승과 사냥 과정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21세기에는 환경 보호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모으는 사람이 있다. 201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유동계면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연구원이었던 아니루드 샤르마(Anirudh Sharma) 씨는 인도 뭄바이로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두 번째 역할은 생선전을 부칠 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요소가 불의 세기, 즉 온도입니다. 온도가 생선전의 맛과 질감을 좌우하는 이유는 계란에 열을 가했을 때 그 안에 있는 단백질의 구조가 변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선살을 감싸고 있는 계란 단백질이 변성과정을 천천히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에서 라부아지에의 노력은 주기율표의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후 19세기 초가 되면 서로 다른 화학물질을 구별하는 기술인 분석화학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화학에 관한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하게 됐다. 하지만 여전히 원소의 분류보다는 화합물에 대한 분류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던 ... ...
- Part 2. 빙하가 녹으면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부 녹으면 해수면이 65~70m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1세기 말까지 지구 해수면이 적게는 0.2m에서 많게는 2m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답니다. 특히 해안가에 자리잡은 도시들이 위험해요. 미국 뉴욕과 마이애미, 일본 도쿄, 중국 광저우와 상하이, 홍콩이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