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쿼크(quark), 광자(光子, photon)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광자’라는 말을 쓰진 않았어요. 이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미국 물리화학자 길버트 루이스예요. 1926년 과학잡지 에 보내는 편지에서 빛에너지를 전달하는 입자란 의미로 ‘광자’를 처음 썼지요. 이후 아인슈타인의 주장이 맞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지면서 ‘광자’는 빛의 입자를 ... ...
- 과학으로 언어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아이들(김수민, 박경혜, 한다은), 정민석(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최무영(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Microsoft Story Labs,Monica Williams(AISSA, Association of Independent Schools of South Australia),Tessa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일사량,초전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초(超)’를 붙였지요.초전도 현상은 전기의 저항을 0으로 만드는 것을 포함해 다양한 물리 효과를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초전도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영하 200℃ 이하의 초저온이 필요하지요. 더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답니다. ... ...
- 교사 유튜버의 게임 활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달 내내 마인크래프트로만 했어요. 교과서에 있던 ‘생물과 환경’이라는 단원이었지요. 물리와 화학은 과학실에서 실험을 할 수 있지만, 환경 단원은 아프리카 등 환경 문제를 겪는 곳으로 직접 갈 수 없어 사진으로만 상상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어요. 마인크래프트는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서로 간섭을 일으켜 다양한 색을 만든 거예요. 이렇게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물리적인 원리에 의해 나타나는 색을 ‘구조색’이라고 해요. 비눗방울이나 나비의 날개, 새의 깃털 등에서 나타나지요.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액체방울의 크기와 광학 조건에 따라 어떤 색을 내는지 예측할 ... ...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헬륨의 가격이 상승하면 피해를 받는 곳은 풍선 회사뿐만이 아니에요. 실제로 헬륨은 물리학과 화학, 의학 등 과학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어요. 액체 헬륨의 온도는 약 영하 268℃로, 초저온 환경을 만들기 좋지요. 헬륨 부족 사태가 오래 이어지면,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비롯해 핵융합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움직이면 전기가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얻어내는 풍력 발전기예요. 풍력 발전기를 비롯한 대부분의 발전기 기본 원리는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1831년 증명한 ‘전자기 유도 법칙’이에요. 도선 주변의 자기장이 변하면 도선에 전류가 발생한다는 내용이지요.풍력 발전기의 회전부 중심에는 긴 막대가 연결돼 있어요. 날개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것을, 화학에서는 산성 물질과 염기성 물질이 만나 중성이 되는 것을 중화라고 하지요.물리에서의 중화를 활용하는 물건은 복사기예요. 복사기는 양전하를 띤 종이에 음전하를 띤 잉크 입자를 붙이는 방식으로 인쇄한답니다. 이때 인쇄를 하지 않을 부분은 전하를 띠지 않도록 중화시키기 때문에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빨리 하나라도 더 발견해야훈련에 참여한 김명진 연구원은 실패 이유에 대해 “2019 PDC의 물리적 특성을 몰라 효과적으로 궤도를 변경할 시간이 촉박했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NASA 등은 근지구소행성을 발견하고 궤도를 파악한 뒤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근지구소행성은 ... ...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산한 결과 전자가 최대 250GHz의 진동수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심흥선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역학 상태를 제어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