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안녕! 친구들~. 어과동의 마스코트,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갑자기 웬 병원 신세냐고? 으…. 엊그제 밤에 굴 파티를 열었는데, 지난 밤부터 자꾸 배가 아프더라 ... 쉽게 녹지 않아요. 그런데도 싱크홀 뉴스를 자주 접하는 이유로 낡은 수도관, 무리한 도시 개발 등이 문제로 꼽힌답니다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현재 조립동에서 예정대로 조립이 진행 중입니다.두 번의 발사가 끝난 뒤에도 발사체 개발 사업은 이어질 예정입니다. 10월 23일 과기정통부는 내년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사업’에 예산 1727억 6000만 원을 편성하며 후속연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은 6년간 발사체를 4회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JWST 개발진의 부담을 덜어줬다. 이후에도 크고 작은 문제들로 일정이 지연됐다. JWST 개발에는 총 17개 국가 연구진 10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예산은 10조 원으로 불어났다. 그러나 끝이 아니었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연구가 늦어졌다. JWST ... ...
- 평양의 과학도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경험이 있습니다. 대학에서도 밤새기 일쑤였고, 부스스한 머리로 옷도 갈아입지 않은 채 개발에만 몰두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습니다. (영애 기자: 남한도 다르지 않아요!) 남한에 와서 새로운 사회·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입장에서 전공과는 다르더라도, 남들과 소통하는 일을 선택했습니다.다만 ... ...
- 애니메이션 제작일기 '유미의 세포들'을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방법이 다양할 수 있지. 더 자연스러운 캐릭터 표현이나 움직임처럼 계속해서 연구개발(R&D) 하면서 개선해나가야 하는 부분도 있고 말이야. SCENE #2. 프로덕션&포스트 프로덕션 사업세포와 창의세포는 스타세포를 데리고 상점가의 다음 골목으로 이동한다. 이곳 주민들의 화면 속에는 스타세포가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담당했다. 손 본부장은 “업체에서 각 부품을 성능에 맞게 개발했어도 다른 부품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성능을 못 낼 수도 있다”며 “도산안창호함은 400여 개 항목을 시험했고, 결과를 토대로 약 150개 항목을 개선했다”고 말했다한국전기연구원은 이 과정에서 ... ...
- [잡터뷰] 미래 모빌리티 앞당기는 자율주행 자동차 플랫폼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안전과 연결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수정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이 선임연구원이 개발한 경로 계획 시스템도 현재 상용화를 위한 주행시험에 들어가 있다. 11월부터 세종시에서 시범주행을 시작한 자율주행 셔틀버스에 탑재됐다. 이 선임연구원은 “한국자동차연구원 내 많은 연구센터와 협력해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발짝 나아가는 걸음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더 크고 성능이 더 뛰어난 우주망원경을 개발하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대표 임무 초기 우주 빛 관측 우주 초기를 이해하려면 ‘재이온화 시기’의 빛을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Swift)’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 ‘스위프트 포 에브리원(Swift for Everyone)’을 개발했어요. 코딩의 주요 요소인 명령, 반복을 가르쳐주는 프로그램이지요. 이 작품을 통해 애플의 CEO인 팀 쿡 앞에서 발표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어요! Q 아직 폴리매스에 참여하지 않은 친구들에게 한마디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6월 1일, 멸망까지 7분! ‘운명의 날 시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자정에 더 가까워지는 거예요. 소련이 원자폭탄보다 훨씬 위력이 강한 수소폭탄을 개발하던 1953년에는 분침이 자정 2분 전으로 당겨지기도 했어요.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끝난 1991년에는 자정 17분 전으로, 운명의 날이 멀어졌고요.냉전은 끝났지만, 운명의 날 시계는 지금도 작동하고 있어요.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