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플레이아데스 성단, 목성의 위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은하수가 별들의 집합이고 성운은
작은
별들의 무리라고 확인했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분량은 그리 많지 않은데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분량을 “메디치의 별”에 할애하고 있다.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을 합성하여 만든 사진. ... ...
미래 공장은 무엇으로 구성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있는 추세이다. 정밀 의약품과 치료제를 판매하는 제약사와 헬스케어기업들은 점점 더
작은
조직과 배양기, 세포배양기를 운영하고 플러그 앤드 플레이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제조업은 주로 생산성과 성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공급자와 제조사들은 소비자들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
2019.11.09
먼저 상대의 ‘호감’을 사야 한다는 이야기다. 미소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데 때론
작은
‘미소’하나면 충분하다고 한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연구자들은 많은 말 할 것 없이 상대를 편안하게 해주는 미소 하나로 상대방에게 호의를 표시하고 분위기를 원만하게 바꿀 수 있다고 밝혔다.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임팩트 팩터(IF)’ 등 논문에 점수를 매기는 수치적 기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작은
발견도 기쁘게 연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케일린 교수의 삶과 연구는 기초과학이 갖는 특유의 ‘예측 불가능성’을 제대로 보여준 극적인 사례로 꼽힌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던 그는 ... ...
'알약 몇 개만 꿀꺽' 몸 속에서 병 찾아 공격하는 로봇의료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하려면 다시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많다는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엄지손가락보다
작은
내시경에 새 기능을 넣으려면 한계가 많다. 삼킬 수 있는 알약 크기만한 공간에 새 기능을 넣으려면 전혀 다른 작동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외부와 연결된 선이 없고 배터리를 넣을 공간도 없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소스를 찍어먹는 게 옳은가 부어 먹는게 옳은가와 같은 사소한 문제에서부터 크고
작은
의견 차이까지 누군가 혹시 헛소리(나와 다른 생각)를 하지는 않는지 눈을 시퍼렇게 뜨고 다니다가 “넌 틀렸어. 당연히 찍먹(찍어 먹기)이지”라며 자신의 생각을 요요하는 식이다. 이는 유난히 자신의 ... ...
‘백 투 더 문’ 꿈 실현할 우주산업 생태계 활짝 열린다…2019 국제우주대회 폐막
2019.10.26
브렌트 셔우드 블루오리진 부회장은 “우주 관련 기업이든 아니든, 규모가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우주 산업 생태계를 모든 산업 플레이어들에게 열려 있다”고 말했다. 올해 7월 한국에서 열린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19’에도 주요 연사로 참석한 하카마다 다케시 아이스페이스 CEO는 “달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
2019.10.19
가보자. 인구는 약 만 명에 불과한
작은
섬이다. 크기도 작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작은
나라다. 식민지 개척 시절 독일과 호주의 지배를 받다가,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일본에 잠시 점령되기도 했었다. 섬 전체가 인광석으로 덮여 있다. 유기물이 퇴적되어 생기는 독특한 광물인데, 비료의 좋은 ... ...
[주말 고고학산책] 스웨덴 황태자가 발굴한 경주 고분의 수난사
2019.10.19
알려졌지만, 몇백 년 전만 해도 경주 사람들은 시내 여기저기 흩어진 것이 고분이 아니라
작은
산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신라 시대의 무덤이었다는 사실이 잊힌 것입니다.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 경주의 고분을 처음 본격적으로 발굴한 것이 바로 일제강점기의 일본 ... ...
청소년 10명중 2명 '소음성난청' 이어폰 과용 심각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2006년 306명에서 2010년 394명으로 30%가량 증가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귀가 먹먹해
작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거나 주변에 아무 소리가 없는데도 삐 하는 소리가 들린다면 난청을 의심해봐야 한다. 평소에 이어폰을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직업적으로 큰 소리를 자주 들어야 하는 사람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