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터쇼를 넘어선 CES…자동차만 있으면 밋밋하다
연합뉴스
l
2020.01.08
화려한 발표에 쏟아진 관심에 비해서는 한산한 분위기였다. '우븐시티'와 관련해선
작은
모형과 자율주행차 'e팔레트', 그리고 영상뿐이었다. 전반적으로 자동차 업체들의 초점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맞춰져 있다. 아우디의 자율주행차 'AI:ME'는 제3의 생활 공간으로 구성됐다. 운전대가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색감기 깊고 다채롭다”고 말했다. 이번에 선보인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모듈형으로
작은
디스플레이를 모아 붙여 큰 화면을 만들 수 있다. LG전자와 소니도 관련 제품을 전시했다. 현재 4K~16K까지 다양한 해상도의 마이크로LED 제품들이 앞다퉈 출시되고 있다. 삼성전자 모델이 CES2020에 앞서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보통 맹장이라고 부르지만, 진짜 이름은 충수돌기인 기관이 있다. 맹장 끝에 붙은
작은
기관인데 종종 염증을 일으켜 잘라내는 부분이다. 마치 남성의 유두처럼 불필요한 흔적 기관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충수돌기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퇴화가 아니라 오히려 진화했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구상할 수는 없다. 생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생물학에서는 큰 실험실보다
작은
실험실이 더 효율적이고, 생물학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작고 다양한 실험실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는 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지나친 경쟁구도를 부추긴 결과로 나타난 과학계의 연구비 ... ...
삼성 지원받은 대학 연구팀, VR 신기술 들고 CES 간다
연합뉴스
l
2020.01.01
구현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연합뉴스TV 제공] 이채은 교수 연구팀은
작은
유닛(unit)으로 나누고 각 유닛에서 촬영한 라이트 필드 정보를 합쳐서 전체 가상현실 공간을 구현해서 가상 효과가 더 실감 나고, 동선의 제한도 없다. 이 연구는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연구 지원을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예를 들어 인간의 위장은 약 2kg의 세균총을 포함하고 있으며, 혈액 내
작은
분자의 30%는 미생물이 만든 대사물이다. 최근 오랜 친구 가설은 부모나 가족과 공유하는 환경을 통해 얻는 미생물무리, 자연환경의 포자나 유기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갈팡질팡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2019.12.28
그 이유로 많은 아이들이 다음과 같은 사고과정을 거친다고 한다. 우선 빼기란 큰 것에서
작은
것을 빼는 것이다. 3이 1보다 크니까 우선 3에서 1을 빼자. 그럼 2가 나온다. 남은 숫자로는 3과 7이 있는데 7이 3보다 크다. 그러니까 7에서 3을 빼면 답은 4다. 따라서 24가 정답인 것이다. 틀린 답일지언정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가야 한다. 뉴턴은 이미 《프린키피아》 1권 1장에서 무한소의 개념을 써서 무한히
작은
두 양의 비율이 유의미한 값을 가짐을 논증했다. 2장에서는 구심력을 다룬다. 케플러 제2법칙, 즉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을 기하학적으로 재해석해 구심력과 결부시킨 정리도 초반에 나온다. 2장이 일종의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1월-2016년 1월 4일의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을 위한 연속 사진을 모아 만든 일주운동 사진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경자년(庚子年) 새해는 밤 ... 근 20년만이다.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월몰 직전인 오전 6시24분 뜬다. 반대로 가장
작은
보름달은 10월 31일 보름달이 될 전망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그 충격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물도 아니고 얼음도 아닌 ‘제3의 물체(a third body)’가 되면서 점도가 크게 높아진다는 것이다. 빙판 위에 놓인 하중이 클수록 점도가 더 높아진다는 측정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