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에너지"(으)로 총 1,79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한림원 정회원에 석상일 UNIST 교수·이경무 서울대 교수·박범순 KAIST 교수 등 30명 동아사이언스 l2020.11.30
- 청정기술을 개발한 조완근 경북대 교수, 항만 물류 전문가인 김갑환 부산대 교수, 소규모 에너지 발전 및 저장시설을 연구한 김상재 제주대 교수, 해양플랜트 안전성 평가 기술을 실용화한 백점기 부산대 교수,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에서 최고 효율을 달성한 석상일 UNIST ...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핵융합 ‘중성미자’ 첫 검출동아사이언스 l2020.11.28
- 금속성 원소 함량에 따라 별의 에너지 생산이 달라질 수 있어 태양 외 다른 항성의 에너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이번 연구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문화 혁신포럼’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0.11.26
- ISE 수소기술본부 연료전지부서장, 김지영 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부장, 조셉 김 한미에너지협회장 등이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 기술 현황과 전망을 발표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프랑스 원자력청(CEA)과 공동으로 제24차 한-프랑스 원자력공동조정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하고 원자력 ...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2020.11.25
- 바뀌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기체인 냉매를 압축해 액체로 되돌릴 때 많은 전기에너지가 소모되고 열이 발생한다. 반면 흡착식 냉·난방기는 물 분자를 빨아들여 냉방을 촉진하고 열이 가해지면 물 분자를 내뱉는 흡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에어컨의 10분의 1 정도 전기로 작동한다. ○ ...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2020.11.25
-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 수능 가림막 높을수록 바이러스 차단 효과 크지만…어디까지나 '방역 보조수단'동아사이언스 l2020.11.23
- 이는 가림막 높이를 70cm까지 해도 차단효과가 충분하다는 결과다. 다른 연구기관인 에너지연과 건기연이 진행한 실험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정부는 수능 칸막이(가림막) 높이를 45cm로 정했다. 이는 차단효과가 어느 정도 확인된 70cm보다 25cm나 낮다. 수능을 ... ...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 20일 독립법인으로 새출발동아사이언스 l2020.11.20
- 한국판 뉴딜 정책에 부합하는 청정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원 확보 대안으로 핵융합에너지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독립법인 연구원 승격과 함께 기초원천 연구개발(R&D)에서 실증을 위한 핵심기술 R&D로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환 초대 한국재료연구원 원장은 ...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0.11.20
- 용량의 84%를 유지하는 양극소재를 개발했다. 김 단장은 “경계면에서의 에너지를 조절해 기존보다 강도는 10%, 연성은 250% 끌어올린 알루미늄 합금도 개발해 중소기업에 이전했다"며 "경계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찾아내 특허를 내고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이브리드 소재는 ...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0.11.20
- 제거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장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비접촉식이다. 레이저의 에너지로 오염물질을 작은 입자로 만들어 제거할 수 있다. 샌드 블라스트처럼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 친환경 작업도 가능하다. 최지연 실장은 “레이저는 군수 장비의 기계적 변형 없이 정비 작업 효율을 ... ...
- 상위 1% 연구자에 한국 연구자 46명…서울대·IBS·UNIST·성균관대 순으로 많아동아사이언스 l2020.11.18
- 자연과학부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와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IBS 나노입자 연구단장)가 2개 분야 중복 수상을 기록했다. 크로스필드 HCR에 14명이 이름을 올렸다. 기관별로 보면 서울대 7명, 기초과학연구원 7명,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