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목격한다면 위에 있는 개체가 수컷, 아래에 있는 개체가 암컷”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수가 혈액이나 모근이 달린 깃털을 제공해 준다면 유전자를 분석해 성별을 확인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펭수는 스타답게 ‘열애설’이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위 기술은 불완전한 셈이다. 무엇보다 DNA 시퀀스를 별도로 넣어 교정한 성공률이 10% 아래로 낮다는 점도 문제였다. 성공률이 1%가 안 되는 경우도 많았다. 프라임 에디팅으로 최대 89% 치료 그런데 리우 교수팀이 개발한 프라임 에디팅은 다르다. 크리스퍼-캐스9로 대표되는 유전자 가위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치킨보다 빨리 구할 수 있고, 돈도 적게 들었기 때문입니다.위쪽 관에 핫도그를 놓고, 아래쪽 관에 케첩을 듬뿍 넣었습니다. 케첩은 구멍을 통해 위로만 분사될 수 있도록 앞쪽 입구는 마개로 막아놨습니다. 이제 인젝터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4, 3, 2, 1, 발사!”“퍽. 후두둗두두둑.”핫도그의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날씨, 일주일 동안의 날씨는 ‘기상’이라고 하지. 이런 기후 모형이 고려하는 요인은 아래와 같아.이 요인들은 모두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만든 이론을 반영한 수식으로 나타내. 그 수식들을 모두 컴퓨터의 언어로 옮겨 만들지. 예를 들어, 대기와 해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의 기본형은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나 ‘직캠’으로 유례없는 역주행 신화를 쓴 EXID의 ‘위아래’와 비교해 닐로의 ‘지나오다’는 특정한 계기도 없이 이 두 곡보다 훨씬 가파른 속도로 치솟고 있다. 한번 차트 밖으로 벗어났던 곡이 수직상승 그래프를 그리는 일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이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떨어져도 깨지지 않는 달걀?! 달걀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바로 지금! 달걀을 넣을 최적의 타이밍인데…! 그때 섭섭박사님은 달걀을 깨뜨리지 않고 아래층으로 빠르게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이 떠올랐어요. 그 비법 지금 공개할게요! 달걀을 무사히 지켜내려면? “여러분, 달걀을 바닥으로 던질 거예요! 단 깨지지 않게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물이야, 로봇이야? 생체모방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관을 감싼 로봇(아래 사진), 뱀처럼 생기지 않았나요? 이처럼 사람을 비롯한 동물, 식물 등 생물의 기본 구조와 작동 방식을 본떠 만든 로봇을 ‘생체모방 로봇’이라고 해요. 사진 속 뱀 로봇도 생체모방 로봇 중 하나지요. 뱀 로봇은 뱀이 굴곡진 곳을 잘 이동한다는 장점을 활용했어요. 울퉁불퉁한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늑대는 다시 눈을 뜨며 말했어요. “제가 일곱 마리 아기 양을 잡아먹고 나무 그늘 아래에서 자고 있을 때였어요. 엄마 양이 나타나 제 뱃속에서 아기 양들을 모두 꺼내갔죠. 대신 제 뱃속에 돌멩이를 가득 채워 놓고 말입니다. 그날 저는 개울을 건너다가 배가 무거워 물에 빠지고 말았지요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자율주행차의 브레이크는 고장 난 상태로 직진과 방향만 바꿀 수 있다고 가정하고, 아래 그림 속 문제들처럼 쉽게 답하기 어려운 문제의 답을 선택해야 해요. 연구팀은 약 2년간 233개 국가 및 도시에 사는 230만 명을 대상으로 얻은 답변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동물보다는 인간을,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대답했어요.“아니에요. 그건 초파리 구더기예요. 선충은 훨씬 작아요. 여기, 화면 아래에 한 마리 보이네요!”손가락으로 가리킨 곳에는 구더기보다 훨씬 작은 벌레가 몸을 흔들며 헤엄치고 있었어요. 길쭉하고 미끈한 몸체가 투명하게 빛나고 있었죠. 여기저기서 대원들의 탄성이 이어졌어요.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