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구동토 속에 좀비 생명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근처의 영구동토층에서 3만~4만 년 전에 살던 선충을 살려냈어요. 연구팀은 수십m 아래의 영구동토에서 채취한 300개의 시료를 연구실에서 녹여 영양분을 공급했어요. 그러자 그중 2개의 시료에서 선충이 살아났지요.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 사실을 발표하며 “이 선충을 연구하면 냉동보존 의학,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독특한 구조를 새겨 ‘구조색(structural color)’이라고 부르는 현상을 구현했기 때문이죠(아래 사진). 구조색은 말 그대로 물체의 표면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색깔입니다. 공작의 날개, 딱정벌레의 껍질에서 볼 수 있는 총천연색이 대표적입니다. 구조색은 빛의 간섭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화학적 ... ...
- [오일러 프로젝트] 반드시 탈출한다 ! 엑시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파이썬에서 모듈을 불러오는 명령어는 ‘import’이고, gcd 함수는 math 모듈에 있으니 아래와 같이 씁니다. 이 코드를 실행하더라도 항상 모듈의 이름인 math를 gcd 앞에 붙여서 math.gcd(a, b)로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4와 6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math.gcd(4, 6)으로 씁니다. 2. 최소공배수 구하는 함수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탄소다.이런 탄소와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규소다. 규소는 주기율표에서 탄소 바로 아래, 즉 같은 족에 속해 있다. 탄소처럼 원자가 전자(최외곽 전자껍질에서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전자)가 4개라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다만 규소 생물은 탄소 생물처럼 몸이 유연하지 않고 뻣뻣할 것이다.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공공부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출하는 탄소량 데이터를 모으고 있지. 이때 나오는 양을 아래와 같이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 총 배출량(T)=산업(I)+가정(H)+공공(C)만약 I, H와 C값을 얻을 수 있다면 바로 총 배출량 T를 구할 수 있어. 여기서 총 탄소 배출량 T를 줄인다고 할 때, 문제의 해결책은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르면 다시 우리 시계는 천천히 흘러 인간의 노화 패턴과 비슷해지지. 그래프로 보면 아래와 같아. 새로운 환산 공식자 이제 설명은 다 했으니 내 나이를 구할 수 있는 공식을 알려줄게. 네가 아는 래브라도 리트리버가 있다면 생후 몇 개월인지 이 공식에 집어 넣어봐. 그럼 인간의 나이로 따졌을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대륙판과 아메리카 대륙판이 서로 떨어져 나갈 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어요. 판 아래에 있던 용암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돔 형태의 바위층을 만들었고 풍화작용으로 인한 침식이 계속돼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는 거지요. 이는 가장 유력한 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답니다. 리차트 구조의 형성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통로를 만들어 큰 분화를 막겠다는 영화 속 강봉래 교수의 전략과도 유사하다. 천지 아래 화산가스를 제거하려면 물속에 관을 넣어 응축된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이면 된다. 기술적으로 어려운 과정은 아니다. 다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현재 연구를 위해 백두산에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설계와 진행, 평가 기준은 교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평가 항목별로 기준을 세워 관찰 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관찰 평가는 수업에 참여한 정도와 산출물을 기준으로, 보고서 평가는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초점을 맞춰 문제를 제대로 해결했는지를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생긴 ③번 다각형을 보면 제일 아래 있는 삼각형은 칠교에는 없는 조각이야(오른쪽 아래 그림 참조). 따라서 ③번 다각형은 칠교 조각으로 만든 ①, ②번과 넓이가 달라서 분할합동이 아니야. 즉 어른들이 세뱃돈을 주지 않으려고 속임수를 썼다는 걸 알 수 있지(찌릿). 넓이만 같으면 모두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