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자
씨앗
님
선생
위도
자손
뿌리
d라이브러리
"
씨
"(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새벽 3시까지 의·치의학입시전문학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 강의로 공부한다. 김
씨
는 지금 당장은 고생스러워도 10년 뒤 ‘의사’라는 안정된 미래를 생각하며 새벽 늦게까지 공부한다.지난 2005년 시작된 의·치의학전문대학원이 이공계 전체를 뒤흔들고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모집 인원이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채취한다. 이때 갈대 속에 수분이 잘 올라와 청을 쉽게 뽑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김휘곤
씨
는 “이보다 시기가 빠르면 갈대에 물이 올라오지 않고 너무 늦으면 갈대 속이 말라붙는다”고 설명했다.언제부터 대금에 청을 사용했을까.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악학궤범’에 그려진 대금에 청공이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가장 사랑하는 수학자라는 저자는 직업수학자이면서도 일반인을 위한 수학 글
씨
기를 계속하고 있다. 독일의 유명한 과학 잡지 ‘빌트 데어 비센샤프트’에 연재한 에세이를 묶은 이 책은 수학에 두려움을 지닌 사람도 웃으며 읽을 수 있는 따뜻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가 1은 나르시스트, 2는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별아름’ 같은 아마추어천문 동호회 정회원이다. 독자사진 지난달 수상작 박혜영
씨
의 ‘대마젤란과 소마젤란’. 호주 서부 사막에서 대마젤란은하(가운데 구름 같이 뿌연 부분)와 소마젤란은하(오른쪽 위 모서리)를 찍었다. 보면 장수한다는 전설이 있는 노인성(왼쪽 아래 밝은 별)도 함께 찍혔다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연구원은 일반생물학 이외에는 수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연구실 석사과정 정찬석
씨
는 “학부에서 프로그래밍만 공부해 처음에는 생물학 지식이 부족해 고생했다”며 “1년 동안 혼자 생화학을 공부한 뒤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처음에는 서로 다른 영역을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호기심을 안고 숲속으로 새로운 버섯을 찾아 나서기 시작하면 늘 마음이 설렌다. 지난해에는 겨울을 준비하는 오대산의 전나무숲길에서 전에 보지 못한 뜻밖 ... 버섯분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여 년간 전국을 누비며 흰비단털버섯, 대추
씨
말똥버섯을 비롯한 200여 종의 신종을 발견했다 ... ...
‘데이비드 카퍼필드’ 꿈꾸는 아마추어 마술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회원들은 겨울방학에는 양로원이나 고아원을 찾아가 공연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최정민
씨
는 “미스디렉션은 더 많은 사람이 마술을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때까지 공연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의상을 입혀보고 살 수 있단다. 아, 이제 ‘쇼핑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겠구나. 나
씨
는 모니터 앞에서 자신의 ‘가상분신’에 이것저것 입혀보며 달콤한 데이트를 즐길 단꿈에 빠졌다.옷 입는데 몇 초면 충분지난 10월 CJ몰은 업계 최초로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 피팅 시스템’을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양 스펀지를 집다 보면 진화의 신비에 손끝이 짜릿하다. 특히 큰땅핀치가 크고 딱딱한
씨
앗을 먹기 위해 커다랗고 튼튼한 부리를 갖도록, 딱따구리핀치가 나무 구멍 속에 들어 있는 벌레를 파먹기 편하게 가늘고 끝이 약간 휜 부리를 갖도록 각각 진화한 이유를 몸소 느낄 수 있다.꼭꼭 숨고, ... ...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물 소비에 관한 새로운 생각을 일깨워줬다”고 말했다.차화영(서울대 국제대학원)
씨
는 “가상의 물 이론도 재미있었지만, 보른바서 박사의 ‘물은 경계를 모른다’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며 “국제학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환경문제 해결에 국경을 초월해 협력해야 하는 이유를 느끼게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