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자
씨앗
님
선생
위도
자손
뿌리
d라이브러리
"
씨
"(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5회 바이오 현미경사진전 현미경 속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계속된 미래는 이런 모습일까요? 이글거리는 태양 아래 지구가 헐떡이고 있어요. 분꽃
씨
의 껍질을 벗긴 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276배 확대해서 찍은 사진이랍니다. 무등산 입석대●입선/초중등부/이재헌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이 펼쳐져 있네요. 다슬기의 껍데기 내부를 확대한 모습이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누비는 게 어때요?”자신의 팔을 잡고 말하는 어여뻐 양과 질투심으로 불타는 산만해
씨
를 보며 난감해 하는 닥터고글.“어여뻐 양, 그건 너무 갑작스런 제의라….”“냐냐냐냥~!(어휴, 중간에서 복잡해지기 전에 어서 도망가자구!)”닥터고글! 올 가을에는 고독한 가을 남자가 되기는 힘들겠는데 ... ...
으악! 내가 주워온 아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흑~. 부모님께효도도못하다니….”아들의 효성에 감격해 눈물을 흘리는 오진실
씨
. 닥터고글이 웃으며 당돌한 군을 달랜다.“걱정 말아요, 당돌한군. 과학자들이 사람에게 쓸 수 있는 인공혈액을 열심히 개발하고 있으니까요. 산소를 운반해줄수있는 화학물질이나 돼지등의 동물 피에서 뽑아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가루폭발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그제야 눈물을 그치는 백설귀
씨
. 송편해
씨
도 마음이 좀 편안해진다.“폭발이 일어날 조건을 만들지 않는게가장 중요해요. 가루가 바닥에 쌓이면 바람만 불어도 공기 중으로 뜨게 되죠. 그러므로 청소기를 이용해 가루를 없애야 해요. 그리고 바닥에 ... ...
우주복 패션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수리하고 우주공간을 유영할 때 입는 선외 우주복이야. 올해 4월 우주를 다녀온 이소연
씨
가 입은 건 우주선이 이착륙할 때 우주선 안에서 입는 선내 우주복이지.그럼 우주 환경은 어떻기에 우주복을 꼭 입어야 할까? 우주는 아름답고 낭만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사람이 1분도 견디기 힘든 곳이야. ... ...
나누면 나눌수록 커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커져요. 뭐가 커지냐고요? 받는 사람은 행복이, 주는 사람은 기쁨이 커지지요.”박미선
씨
는 봉사활동으로 행복을 나누는 것처럼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과학을 나누면 좋겠다면서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덕이초등학교에‘어린이과학동아’100권을 보내고 싶다고 하셨어요.“과학도 나누면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너무 많이 먹으면 좋지 않거든요. 약과 독은 종이 한 장 차이랍니다. 예로부터 과일
씨
를 약에 쓰기는 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공주님처럼 중독증상을 겪을 수 있어요. 또 처음 보는 과일이나 열매를 먹어서도 안돼요. 우리가 흔히 먹는 식품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먹어서 안전성이 검증되었지만,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정말 다른 결과물이 나오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숙련된 감각이 필요해요. 이 감각과 솜
씨
는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을 통해 만들어지죠. 진짜 같은 특수 분장을 하려면 조소 실력을 갖추는 것은 기본이고 인체 구조, 뼈와 근육의 움직임, 각 재료의 화학적 특성까지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특수분장은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미끈도마뱀. 11월임에도 날
씨
가 따뜻해 먹이를 찾아 나섰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김영호
씨
가 미끈도마뱀 생태를 설명하는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6 오름 정상으로 가는 길에는 제주도 특산인 제주조릿대가 빽빽이 자란 이국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다.7 짙은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결정으로 자랍니다.”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 달라는 요청에 박사과정 이철호
씨
가 제조 과정을 설명해준다. 붉은 빛이 나는 부분은 600℃로 유기금속과 산소가 반응하려면 이 정도 온도는 돼야 한다. 장점 많은 산화아연 나노 소재연구단이 산화아연에 주목하는 이유는 기존의 실리콘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