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 사람은 ‘세포’라는 기본단위로 이뤄져 있으며 2 음식을 섭취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물질대사’를 하고 3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4 이 와 ...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
이란 걸 인정받진 못했지만, 바이러스는 점점
생물
에 다가가고 있다 ... ...
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다만 러시아와 북한은
생물
무기금지 협약에 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비공식적으로
생물
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따라서 핵무기 개발과 마찬가지로 여러 국가에서 비공식적으로 바이러스 무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전공학의 비약적인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있다.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적인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일반적으로
생물
은 저온과 고온 등 온도 변화를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포유류는 열 조절 등 항상성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고, 파충류는 겨울잠을 자며 낮은 온도를 견딘다. 하지만 구조가 단순한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곧 내 것이 아닌 표식을 가진 물질을 인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과정이다.
생물
이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16세기 말 처음 알려졌다.당시 이탈리아 파도바대의 히에로니무스 파브리치우스라는 연구원이 닭을 해부하다가 꼬리 아래에서 새로운 부위를 발견했고, 이를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추측했다. 이후 그 미지의 성분이 박테리오파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테리오파지는
생물
학자들에게 유용한 실험 재료로 자리매김했다. 박테리오파지를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쉽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시간에 증식해 실험 결과를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델브뤼크와 루리아는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체만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매달렸다. 쾰러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
생물
학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던 밀스테인의 연구실에 1974년 합류해 2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두 연구자는 체내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B림프구(B세포)에 주목했다. 항원이 들어오면 B림프구는 항원 결정 부위와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외부 물질의 정보를 기억한다는 사실을 처음 증명했다. 인간을 비롯한 고등
생물
은 체내로 침투하는 항원에 대항하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면역시스템은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유해성을 판단해 제거한다. 그리고 외부 물질의 정보는 항체로 저장해 다음에 똑같은 물질이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생물
안전작업대(biohazard hood) 같은 장비가 당시에는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쥐에게서 수막염을 일으키지만, 세포독성 T세포가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
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 ...
Chapter 02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2. 정체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