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유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군론, 바이러스의 모양을 예측하다!1962년 미국의
생물
학자 도널드 캐스퍼와 영국의 화학자 아론 클루그는 왓슨과 크릭의 발견을 발전시켜 바이러스 단백질 껍질들이 작은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가짜 정이십면체’ 구조를 따른다는 ‘준평형 원리’를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만드는 연구 결과가 하나 발표됐다. 드라가나 로굴자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
생물
학과 교수는 잠을 자지 못하면 뇌와 상관없이 장에 활성산소(ROS)가 축적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49로굴자 교수는 초파리를 대상으로 잠을 자지 못하게 했을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개발된 치료용 게임은 무수히 많다. 미국 버밍엄 앨라배마대 정신과학 및 행동신경
생물
학과 연구팀이 2017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자폐 치료용으로 개발된 모바일 앱이 700개가 넘는다. 이중 렛츠 페이스 잇처럼 임상시험 결과가 있는 것은 4.9%에 불과하다. 바꿔 말하면 95.1%는 효과에 관한 명확한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모든 고래가 바다로 돌아갈 수는 없어. 수조에서 너무 오래 살아왔거나, 자연으로 돌아가기에는 늙고 지친 고래들도 있기 때문이지. 이런 고래를 위해 세계 ... 퍼핀을 접하게 해요! 야생에 쉽게 적응하도록 아이슬란드 바다 생태계에서 만날 수 있는
생물
들에게 미리 노출시키는 거예요 ... ...
Chapter 02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2. 정체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 사람은 ‘세포’라는 기본단위로 이뤄져 있으며 2 음식을 섭취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물질대사’를 하고 3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4 이 와 ...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
이란 걸 인정받진 못했지만, 바이러스는 점점
생물
에 다가가고 있다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케네스 스테드만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생물
학과 교수는 2018년 2월 국제학술지 ‘천문
생물
학’에서 우주 공간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현재 우주 생명체 탐색 방법이 세포성 생명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어려울 뿐이라고 주장했다. 우주에 어떤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진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전체를 복제해 증식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복제하는 일련의 ... 0%가 복제가 불가능한 결손바이러스다. 복잡하고 정교한 유전체 복제 과정을 거치는 다른
생물
과 정반대의 전략을 구사하는 셈이다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낸 뒤 식염수를 공급해 세포를 배양했다. 이는 19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프랑스
생물
학자 알렉시 카렐이 고안해낸 조직배양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다.연구팀은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면역세포에 ‘식세포(phagocy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늘날 체내에서 병원체나 비
생물
체, 노화세포 등을 처리하는 면역세포를 모두 식세포라 칭한다. 당시 혈청만이 병원체를 죽인다고 주장하던 과학자들은 메치니코프의 성과를 평가절하했다. 식세포가 죽은 병원체를 처리하는 청소부일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