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개인게놈 전체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시작한 회사로 이듬해 1월 첫 고객인 스위스의
사업
가 단 스토이세스쿠에게 게놈 데이터(60억 염기쌍의 서열로 약 1.5GB)가 담긴 USB메모리를 전달했다. 이때 가격이 35만 달러였으니 2년 7개월 만에 10분의 1로 떨어지는 셈이다. “사실 아직까지 개인 고객은 얼마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 같이 설명했다. 그는 2007년 유해발굴단이 창설되기도 전인 2005년부터 유해 발굴·감식
사업
을 지휘해 왔다. “처음 유해발굴에 뛰어들었을 때만 해도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 발굴 방법부터 유골을 다루는 방법까지 하나하나 배워야 했습니다. 지금은 역사와 규모가 우리보다 앞선 미국 ... ...
효소 및 환경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후학을 양성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연구원으로 연구 활동을 계속하거나 새로운 벤처
사업
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는 의학, 농학, 심리학, 교육학 등에 BT를 접목시켜 지금까지 남들이 가지 않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그 분야의 선구자가 될 수도 있다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황복이 올라갈 강줄기를 막고 있는 보와 댐이다. 대규모의 간척
사업
과 강 하구에 설치되는 방조제는 황복의 출입 자체를 막아버렸다. 치어를 방류하고, 무분별한 조업을 제한하며 황복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지만 황복이 살 수 있는 환경을 갖추지 않는다면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학기술자들의 목소리를 담는다는 ‘대덕넷’ 역시 과학기술 관련 기관의 홍보성
사업
을 주요 수익모델로 한다.재미만이 아니라 공공적 가치와 비판적인 저널리즘을 추구하는 과학 매체에 조건 없이(차라리 광고 효과만 바라기라도 하면 좋겠다) 지갑을 열 기업이나 기관을 찾기 쉽지 않은 현실은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학자보다는 발명가와
사업
가로서 삶을 더 즐겼던 굴드는 레이저로 특허 출원을 하려고 했으나 특허에 필요한 문서를 잘못 이해해 출원을 미루고 말았다. 게다가 TRG에서 미 국방부 연구자금으로 자신의 레이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올해부터 예산이 반영된 후속발사체인 KSLV-II
사업
이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국내에는 로켓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액체로켓 엔진 기술을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하는 상황에서 또 한 차례 더 발사할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녕! 나는 역사상 최초의 건축가로 알려진 임호텝이라고 해. 나는 지금으로부터 약 4670년 전 이집트에 인간이 만든 가장 높은 건물인 피라미드를 지었지. 죽은 후에도 세상에서 가장 높은 건물을 세웠다고 자랑하면서 지냈는데, 최근에 피라미드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아니라는 소문을 들었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활성단층 지도도 완벽한 것이 아니어서 정부는 현재 원전 주변 지역을 전면 재조사하는
사업
을 진행 중이다.내진 설계가 적용되기 전에 지은 건물에도 안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오래전부터 나온다. 실제로 내진 설계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전에 지은 30~40년 된 건물은 속수무책.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백 명의 천문학자가 관측제안서를 제출해 경쟁률이 10대 1에 이른다”며 거대망원경
사업
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93년 귀국한 이 교수는 곧바로 한국천문학회 총무를 맡았다. 천문학 후진국이었던 국내에 기여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NASA는 천문학 논문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기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