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 2차 발사’ ‘국가핵융합장치(KSTAR)’ 등을 다양한 각도로 조명했다.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14회)‘ ’과학나눔과 과학기부문화(8회)‘ ’대학연구센터 시리즈(20회)‘와 같은 시리즈 기획 기사로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임승환 기자는 심층 취재를 통해 현장의 의견과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입으면 90kg 이상의 짐을 지고 시속 16km로 움직일 수 있다.국내에서는 생기원 민군실용로봇
사업
단이 ‘하이퍼(HyPER)’를 개발 중이다. 하이퍼가 사람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비결은 신발, 허리, 발목 등 곳곳에 숨어 있는 25개의 정밀한 힘 센서다. 사람이 몸을 움직이려고 하면 센서에서 힘을 느끼고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살아 있는 붕어나 송사리를 넣어 줘 먹이를 잡아먹는 훈련도 시켜야 한다.황새복원
사업
의 최종 목표는 과거처럼 야생 서식지에 황새들이 스스로 생존과 번식을 하는 상태다.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인 논과 습지를 함께 복원해야 한다. 농경지 내에 둠벙(웅덩이)과 물고기 길(어도)을 다시 만들고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정도 진행된다. 현재 생활과학교실은 전국 54개 지역 711개 읍·면·동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업
이 본격화된 지난 2005년 이후 생활과학교실에 다닌 학생들은 21만 6400여 명 정도다. 올해는 9월말까지 3만 4400여 명이 열린과학체험에 참여했다.‘생활과학교실’의 각종 프로그램은 지역 별로 책임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저자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면 용의자 가운데 범인을 가려내는 순간뿐 아니라
사업
상 만남이나 소개팅, 면접 등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다른 이의 신체언어를 해석해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지난 3월 서해에서 침몰한 해군 초계정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람이 앞으로 성공을 거머쥘 것이다.박상덕 _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민군실용로봇
사업
단장2020년이면 한국은 로봇산업으로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할 거라고 본다. 먼저 로봇이 생활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지금의 컴퓨터처럼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부분에서 로봇이 활용될 것이다. 인간의 가장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철학을 전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졸업 뒤 철학과 전혀 상관없는 회사원이 되거나
사업
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극히 일부만이 대학에서 철학을 연구하거나 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교수가 될 뿐이다. 그러나 철학이 가르치는 것은 ‘살아가는 방법’ 그 자체라는 것이 푸리올의 지론이다. 그는 “철학에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결정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1988년부터 본격 궤도에 오른 ITER
사업
에 한국은 2006년부터 참여하고 있으며, 전체 건설비의 9.09%에 해당하는 품목 10개를 제작하고 있다.베르너 부카트 IAEA 사무차장 역시 한국이 핵융합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은ITER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박 박사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을 보더라도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한 대량생산 기술에만 집중한 나머지 제대로 된 ‘한국산 기술’을 갖지 못하고 있다”면서 “출발이 늦었더라도 패러다임을 바꾸려면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특허를 내야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학술지 ‘프로테오믹스’ 9월호에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부의 국제공동연구
사업
비로 3년간 매년 8000만 원을 지원받은 이 연구에서 박 박사와 유 박사는 1500여 개의 단백질을 찾아냈다. 참여한 20개의 연구팀 가운데 가장 많은 수였다. 박영목 박사는 “처음에는 다른 나라의 연구팀이 믿기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