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행성과 충돌할 가능성이많은 '태양계의 부랑아'다.1990년대 초반 4개의 소행성이 목성궤도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이 발견됐다. 이들 소행성은 이심률과 궤도경사각이 커, 마치 혜성인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이들 중 하나인 카이론은 코마가 관측돼 소행성이라기보다는 혜성이라고 하는 편이 더 ...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있다. 지구 지름 1만3천㎞와 비교하면 얼마나 거대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더구나 코마 바깥쪽에 코마의 10배에서 1백배나 되는 장대한 수소 원자의 구름이 퍼져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구름은 수소코로나라고불린다. 핵에서 나온 물분자가 태양의 자외선을 받아 수소원자를 발생시키고, 혜성의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지구질량의 3백배가 넘는 목성은 태양계의 맏형이다. 대적반으로 대표되는 대기의 복잡한 움직임과 그 내부, 오로라 등을 자세히 살펴보자.목성은 지구 질량의 3백18배로 태양계에서 제일 큰 행성이다. 목성은 지구와는 달리 딱딱한 고체표면이 없고, 오히려 태양처럼 수소와 헬륨 가스로 이루어졌 ... ...
- 물리 - 놀라운 자기부상열차 운행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무거운 열차를 들어 올려서 무서운 속력으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에는 최첨단의 과학이론과 기술이 총집결돼 있습니다. 자기부상열차의 운행과정을 모두 알기는 어렵지만 열차를 띄워서 움직이게 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간단한 실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준비물● 아크릴판 2장, 아크릴 접착 ...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부르는 작은 개만한 크기의 영장류가 크게 번성했다. 이들은 숲에서 살고 있었으며 숲 바깥쪽의 사바나 초원지대에서는 구대륙원숭이들이 살고 있었다. 이 프로콘슬은 마이오세의 중엽에 들어서면서 몇가지 형태의 호미노이드로 진화하게 되는데, 이들 중에는 드리오피테쿠스, 시바피테쿠스, ... ...
- 이동식 선글라스형 TV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미국에서는 TV광들을 위해 고안된 선글라스형 이동식 TV가 본격 시판중이다. 비추얼 비전사가 만든 이 제품의 이름은 'TV글라스'로, 겉보기에는 마치 터미네이터에서 주인공이 쓰고 나온 안경처럼 보인다.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치는 안경 한쪽에 프리즘같은 작은 스크린이 나타나 상을 만든다. ...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높여 고리들을 관찰해보자. 눈을 적응시켜 자세히 보면 고리들의 밝기가 서로 다르며 ,바깥쪽 고리가 안쪽의 고리보다 조금 더 어둡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두 고리 사이에는 틈이 있는데, 이것이 발견자의 이름을 붙인 '카시니의 간극'이다. 이 간극은 폭이 약 5천km 가량 되는데, 조건만 ...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우리은하 중심 궁수자리에는 삼렬성운 오메가성운 등과 같은 밝고 아름다운 성운들로 가득차 있다. 쌍안경이나 저배율의 광시야 망원경으로 이 지역을 훑어보자.기승을 부리던 더위는 물러나고 청명한 하늘이 우리의 시선을 기다리는 9월이 돌아왔다. 망원경을 들고 야외로 나가 장마 때문에 보지 ...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시야라고 한다. 정상적 눈의 시야는 좌우의 눈 각각 위쪽 58˚, 아래쪽 73˚, 안쪽(코쪽) 65˚, 바깥쪽 1백˚이며 좌우의 눈으로 보기 때문에 입체시가 가능한 범위다.육식 동물과 초식 동물은 시야가 다르다. 육식 동물은 일반적으로 눈이 얼굴의 앞에 붙어 있어 시야는 좁으나, 먹이와의 거리를 잘 알 수 ...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시조새의 가슴뼈에는 날개를 움직이는 근육, 즉 용골돌기가 붙어 있다. 더불어 새와 같은 것은 깃털이 있다는 점이다.새들이 척추동물 가운데서 매우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그들의 탁월한 비행 능력 때문이다. 이러한 뛰어난 능력은 오랜 세월동안 지속적인 발전의 결과다. 높이 재빠르게 나는 새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