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쪽"(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과학동아 l1996년 08호
- 곳에 있는 산개성단으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다. 성단의 안쪽은 십자형을 이루며 그 바깥쪽은 원형으로 별들이 둘러처져 있다.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는 저배율로 봐야 전체 모습을 볼 수 있을 만큼 크다.십자가 모양의 백조자리 ‘여름철의 대삼각형’ 에 속하는 데네브 주위를 보면 마치 커다란 ... ...
- 빛에 따라 색깔 바뀌는 스마트 글라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미래에는 스위치만 누르면 한 쪽 벽이 아름다운 스테인드 글라스로 장식될지도 모른다. 중세에는 여러가지 색의 유리를 따로 만들었지만, 요즘에는 외부의 조건에 따라 알아서 색이 변하는 유리가 개발되고 있다. 일부러 선팅을 하지 않고도 빛의 양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자동차 유리, 커튼을 달 ...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위험은 없다.접지를 하면 감전의 위험은 줄어들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전기기구의 바깥쪽 몸체에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류가 새어 나왔다고 해서 누전이라고 한다. 누전이 되면 가정으로 과도한 전류가 흘러 들어와 화재발생의 요인이 된다.전기안전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9 ...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그냥 두고, 겉 풍선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인다.③ 가늘고 곧은 철사로 풍선을 뚫어본다.바깥쪽의 풍선은 터지지 않고 안쪽에 있는 풍선만 터지면서 마치 바베큐가 된 것처럼 보인다. 마술사가 바늘을 가지고 풍선을 찔러도 터지지 않는 것과 같다. 바로 풍선이 투명테이프에 의해 보호받기 때문이다.2. ...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마음의 창'. '마음의 등불'로 불리는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이라는 속담만큼이나 우리 신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왜 눈동자의 색깔이 틀릴까 서양인이 선글라스를 많이 쓰는 이유 왜 서양인은 파란 눈동자를 가지고 있을까?얼굴색이 틀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눈속, ...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과학동아 l1996년 06호
- 허블우주망원경(HST)이 발사된지 6년이 지났다. 그동안 STScI(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에서 발표된 자료는 국내에서도 굵직한 뉴스들을 제치고 신 ... 허블이 지구를 97분마다 하나바퀴 돌면서 찍은 토성과 위성의 모습이다. 토성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C링, 카시니 틈, F링의 모습이 확인된다 ...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있는 때(기름 성분)에 기름과 친한 부분을 연결시키고, 나머지 물과 친한 부분은 바깥쪽 물분자와 연결되게 된다. 이 올챙이 모양의 비누분자들은 계속 흔들리다가 기름성분들을 둥그렇게 둘러싼 상태로 떨어져 나온다. 이런 과정이 거듭되면서 빨래는 세탁이 된다. 여기서도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진동하다가 왼쪽면으로 건너가 나선들의 중심으로 진입한다. 궤적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나선들을 천천히 그리다가 오른쪽 면으로 빠르게 되돌아와 다시 나선들을 그린 후 다시 왼쪽면으로 갑자기 진입한다. 이와같이 궤적은 왼쪽과 오른쪽을 무한히 반복하는데, 한쪽면으로 그리는 나선들의 수는 ...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제네바천문대의 M. 메이요와 D. 퀄로즈는 우리 태양과 비슷한 1백42개의 별을 관측해 왔다. 여기에는 오뜨-프로방스천문대의 1.9m 망원경과 천체운동을 12m/초까지 측정할 수 있는 분광기가 사용됐다. 그러던 중 이들은 페가수스자리 51번별 주위를 돌고있는 행성을 찾아냈다.이 행성의 공전주기는 4.229 ... ...
- 전륜과 후륜의 차이과학동아 l1996년 03호
- 4륜구동은 뉴트럴스티어(neutral steer)현상이 나타난다. 일정한 원을 돌 때 앞뒤가 모두 바깥쪽으로 나가 원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현상이다. 4륜구동은 2륜구동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조종안정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구동바퀴 위치로만 볼 때 조종안정성은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