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더불어 사는 문화를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토대로 민간 차원에서 다양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이언스코리아는
사실
준비기간이 부족했지만, 지난 해에 과학문화의 씨앗을 전국적으로 뿌렸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올해는 지금까지 진행된 사업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선진국의 사례를 참고해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나오도록 정교하게 조절된 첨단 레이저에요.”홀로스피릿 김종우 대표이사의 설명이다.
사실
펄스 레이저는 옛 소련에서 레이저 무기를 만들다 개발됐다. 옛 소련 붕괴 후 이 기술은 유럽과 미국으로 건너가 1990년대부터 민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인체 홀로그램에 이용된지 십수년밖에 지나지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레스의 밝기는 가장 밝은 때인 5월에 7등급이다. 맨눈으로 6등급까지 볼 수 있다는
사실
을 감안하면 유감스럽게도 세레스는 맨눈으로 볼 수 없다.그러나 작은 쌍안경이나 소형망원경에서는 대단히 손쉽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어려운 점이라면, 다른 거대 행성들과는 달리 소행성은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다.그러나 옛사랑과 주고받은 반지를 보다 기억이 떠오르는 장면 등은 비교적
사실
적이다. 서울대 이경민 교수는 “아직 검증된 바는 없지만 연상작용을 이용한 기억 인출 연습이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기억상실증 드라마와 영화의 가장 큰 오류. 이들 드라마만 보면 기억상실증이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푹 빠져서 장난을 치고 싶었다나? 그런데 어떻게 그림자를 마음대로 조정했지?
사실
그림자 마왕의 뒤에는 과학을 나쁜 쪽으로 사용하려는 또 다른 검은 조직이 있었다는 것. 점점 사건은 커져만 가고…. 썰렁 홈즈의 어깨는 무거워만 간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 중 하나인 BDNF가 기억재강화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실
도 밝히고 있다. 처음 학습이 강화되는 경로와 회상 후 나타나는 기억재강화가 서로 다른 독립적인 경로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기억재강화 연구를 통해 기억력을 더 높여 암기과목 내용을 술술 외울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동물은 반복되는 소리 자극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
이다. 원래 종이 내는 소리의 기본 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소리를 따라할 수 있다.한국교원대 동물행동학연구실의 성환철 박사는 “원래부터 ‘비-- 삐빅 삐비빅’하고 우는 휘파람새가 종의 기본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있는 구조라는 것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그에게는 단백질 분자가 서로 결합해 있다는
사실
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하학적으로 ‘어떻게’ 결합해있는지가 중요하다. ‘어떻게’가 ‘왜’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생명의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놓았을 때 풍선이 앞으로 나가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공기도 물체에 힘을 가할 수 있다는
사실
을 이해한다. 누구나 알고 있는 단순한 현상도 동화와 연결해 설명하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심어줄 수 있다. 학교밖으로 확산되는 과학컨벤션이 끝난 뒤에도 참관객들은 댈러스를 떠나지 않았다. 올해로 7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뉴런은 몬드리안 등의 그림을 볼 때 가장 활발해진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저자는 우리가 미술작품을 즐기는 이유는 '사랑'의 감정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뇌에는 아름다운 얼굴에 주목하는 시스템이 있다. 아름다운 얼굴은 진화적으로 번식과 양육에 유리한 특징을 갖는 ... ...
이전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