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여왕 벚꽃. 꽃잎과 줄기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살짝 보인다.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실
뇌에 있는 별아교세포의 돌기. 이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골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항원과 항체가 결합하는 면역반응을 이용해 염색한 다음 광학현미경 200배로 찍은 작품이다. 파란 점은 염색되지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존재가 아니다. 기생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한다. 지금은 ‘기생’으로 불리지만
사실
은 서로 이익을 주고받으며 ‘공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생물이 수컷과 암컷으로 성이 나눠진 것도 기생충과 병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생물학 이론도 있다. 미래에는 기생충이 애완동물 만큼 인간의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포유류의 뇌 시각지도 발달에 대해서는 다양한 모델이 제시돼왔다.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
은 1차 시각피질의 안우성과 방향성이 물리학의 자성체, 즉 자기적 성질을 띠는 물질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자성체 모델의 경우 자성체를 1차원 가상공간에서 ‘위’ 또는 ‘아래’ 자기상태를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남극이 여름철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수를 좌우한다는
사실
이 최근 새롭게 밝혀졌다. 도대체 남북극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결론부터 말하면 지구 전체의 기후를 뒤바꾸는 극지의 기상 현상은 ‘극 진동’(Arctic Oscillation)이라고 불린다. 해면기압이 극 지역에서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때 오른쪽과 왼쪽 귀에 도달하는 소리 크기의 차이로 소리가 오른쪽에서 났다는
사실
을 알 수 있는 것이다.이와 같은 분석이 내이에서 직접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내이에서 소리 정보의 차이를 뇌간에 위치한 상올리브핵과 뇌간 위에 있는 하구로 전달하면 이곳에서 분석해 소리의 방향을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새로 발견된 치아 화석들은 투마이가 어금니와 함께 작은 송곳니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
을 보여준다”며 “이것은 투마이 화석이 유인원이 아니라 인류의 조상이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그러나 미국 미시건대 고고인류학자 밀포드 월포프 박사는 투마이 화석 두개골의 후두에 발달한 거대한 목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이 결손된 사람의 경우 언어장애나 정신지체가 발생한다는
사실
도 여러 건 보고됐다. 결국 시냅스 가소성을 조절하는 모든 인자들이 기억력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자동차의 기능을 향상시키려면 운전대나 문을 새것으로 교체하기보다는 연료밸브나 엔진을 교체하는 것이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켜 온 파수꾼이다.우리는 흔히 독도를 한자 뜻 그대로 ‘외로운 섬’으로 부르지만
사실
은 전혀 그렇지 않다. 독도 저 아래 바다로 10m만 내려가면 형형색색의 물고기 떼가 바위를 가득 덮은 청록색 바닷말 사이를 이리저리 누비고 있다. 독도는 이들에게 최상의 안식처를 제공해주는 1급 호텔인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이하이드로옥시인돌이라는 물질이 멜라닌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이 물질을 합성해 모발용 약품을 만들어 흰머리에 처리하면 원래 색을 되찾을 수 있는 것이다. 연구소는 “현재 이 방법은 외멜라닌의 경우에만 가능하다”며 “페오멜라닌이 많은 사람도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에 빠진 것이었다. 먼지 차단을 위한 어떤 노력도 소용없다는
사실
을 알게 된 연구팀은 차라리 일단 들어온 먼지에 대해서는 포기하기로 했다. 대신 내부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다시 밖으로 방출하는 방법을 찾았다. 가파른 언덕과 높은 장애물 돌파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 ...
이전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