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두"(으)로 총 9,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생 시 모음포스팅 l20230719
- 향해. 하염없이 가버린다. 하늘을 보며 우리는 깁니다. 하늘도 크고, 마음도 길고, 하지만 길지 않은게 있습니다. 인생은 길지 않습니다. 사실 모두 제가 지은 시고요. 어떤분이 자작시 쓰시는거 보고 오호라 싶어서 내키는 대로 써봤습니다 ... ...
- 로봇 ROBOT! 너는 누구니? - 보행로봇8 로키기사 l20230717
- 주의사항) 조립 과정에서 다치지 않게 조심한다 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놓는다 (과열방지) 이 과정을 모두 거치면 멋진 보행로봇8 로키 가 완성됩니다 그러나 로봇이라 그런지 모터부분이나 톱니바퀴 조립 부분에서 잘못하여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만들어보니 이런 이유로 실패 한 것 같더군요.. ...
- (챌린지)이호왕 박사님, 한탄바이러스 첫 발견기사 l20230714
- (노력의 성과) 연구팀은 1975년 10월 등줄쥐 2천∼3천마리를 잡아 연구한 끝에 11마리에서 바이러스 정체를 밝혀냈습니다! 모두 등줄쥐 폐에서 얻은 것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반년 동안 확인 실험을 한 끝에 1976년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를 발견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세계 ...
- 바다거북은 어떻게 살아갈까?기사 l20230713
- 산란을 마치면 앞으로 나아가면서 산란한 곳을 주변과 비슷하게 덮어놓고 다른곳에 가짜 구덩이의 흔적을 만들어 놓습니다. 일을 모두 마친 바다거북은 다시 바다로 향합니다. 또한 붉은바다거북은 1년에 2~3회식 산란을 하고 2~4년 동안은 산란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 세계 최초 한국형 육아방 연구에 주목! 기사 l20230712
- 사는 노랑점나나니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다른 노랑점나나니와는 다른 모양의 육아방을 짓는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지사탐대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러분도 궁금하시죠? 저는 지난 7월 2일 노랑점나나니벌 현장 교육에 다녀왔는데요. 현장교육은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진행하였으며, 주제는 였습 ...
-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바다에 방류해도 괜찮을까?기사 l20230709
- 다양한 생명체들도 피해를 볼 것입니다. 저는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하는 것에 대해 반대합니다. 바다는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것이고 또 지구 온난화와 환경 파괴가 지금도 심각한데 오염수까지 방류하면 지구의 생태계는 무너져 내릴 것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그럼 지금까지 이정완 기자였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 ...
- 노랑점나나니벌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708
- 벌집에 대한 특징 중 첫 번째는 말벌들과 달리 물에 쉽게 녹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말벌들은 방수기능과 접착기능 이 모두 있는 침과 흙 등을 섞어서 집을 만들지만 노랑점나나니벌들은 침을 사용하지 않고 흙 등만 굳혀서 집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랑점나나니벌들은 물이 닿지 않는 곳인 처마 밑 등에 집을 짓습니다. 두 번째는 벌집 속의 방입 ...
- 모두 2014년 토크토크를 확인해 보세요포스팅 l20230708
- 네,확인해 보세요.댓글도요.어떻죠?맞아요.여러분이 생각하신 그거요.거의 모든(?) 포스팅에 미래에서 온 사람들ㅋㅋㅋㅋ 이 있습니다.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
- 뼈는 왜 부러질까?기사 l20230708
-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이렇게 단단한 뼈가 왜 부러질 수 있는지 아시나요? 저도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는데요. 그래서 조사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우선 뼈의 정의는 사람의 골격을 이루는,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 다량의 뼈바탕질을 가지고 있으며 바탕 ... 곳에서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위험한 활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뼈가 부러져본적이 있나요? 우리 몸은 ...
- [챌린지]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의 아버지기사 l20230707
- 3년에 2호를, 1999년에 3호를 발사시켰습니다. 핵심은 이 우리별 1~3호를 모두 성공적으로 발사를 하였다는 것인데요, 이렇게 인공위성을 모두 발사시키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순달 교수님은 성공을 했기에 인공위성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습니다. 최순달 교수님은 1931년 6월20일에 태어나 2014년 10월18일에 생을 마감하셨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