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비틀어지는 ‘트위스터’라는 로봇이에요. 이기주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기계
항공
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9월 27일 ‘IEEE/RSJ 지능형 로봇과 시스템 국제회의’에서 발표했지요. 유연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 로봇팔의 핵심 원리는 일본의 종이 작가 미호코 타치바나가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마지막으로 소개할 하이라이트는 거대로봇이에요. 아래 왼쪽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이 로봇은 우리나라의 로봇제작 기업인 한국미래기술이 개발한 ‘메소드-2’라는 거대로봇입니다. 마치 영화 아바타나 매트릭스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로봇과 정말 비슷하지 않나요? 실제로 사람이 조종석에 타서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년부터 우주환경예보센터와 우주환경감시실을 운영하며 태양폭풍을 예측하고 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공동으로 운용하는 태양 관측 위성(SOHO·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과 NASA가 운용하는 태양 감시 위성(SDO·Solar Dynamics Observatory) 등 태양 관측 위성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따라 최종 모양을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제임스 피쿨 코넬대 기계
항공
공학과 박사는 “지금까지 공학자들은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소재의 모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며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모양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 ...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사람이 올라타 조종하는 대로 움직이는 거대한 로봇을 두 눈으로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상상 속의 이야기만은 아니에요. 실제로 거대로봇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지요. 이뿐만이 아니에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개념 로봇이 많이 생기고 있어요. 중요한건 이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사방이 수평선인 망망대해에 배 한 척이 떠 있었어요. 선장으로 보이는 사람이 망원경을 꺼내 길게 뽑아들었습니다. 망원경을 눈에 갖다 대고 곳곳을 둘러본 선장은 무언가를 발견한 듯 얼굴에 미소를 떠올렸어요. 그토록 고대하던 보물섬을 찾은 걸까요? 선장이 이용한 망원경은 겹쳐서 작게 만들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
항공
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위스터는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 타치바나 미호코가 고안한 꼬여진 탑에서 영감을 받았다. 꼬여진 탑은 종이접기로 다각형 구조물을 만들고, 이 구조물을 여럿 합쳐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미사일이 날아오면 날렵하게 피하는 능력도 탁월한데, 이 역시 레이저로 가능하다.
항공
기를 격추하는 미사일은 대부분 적외선 추적 미사일이다. 즉, 목표물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을 미사일이 ‘보고’ 이를 쫓아가 격추한다. 이때 레이저를 쏘면 미사일이 쫓는 파장을 교란할 수 있다. 현재 미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중성자 별의 충돌로 2초 이내의 짧은 감마선 폭발이 관측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리고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허블망원경이 2013년 이런 특성을 갖는 감마선 폭발체(GRB130603B)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킬로노바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광학 현상과 감마선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
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