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잔뜩 싣고 떠날 순 없어요. 화성까지 가는 연료 무게만 해도 상당하니까요.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은 좀 더 개량된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금껏 없었어요.” 더욱 놀라운 이야기는 전혀 예상치 못한 사람으로부터 나왔다. 미 항공우주국 우주생물학연구소 소속 진화생물학자인 레오네 에반스 박사였다. NASA에서 일한다는 말을 들었을 땐 어쩔 수 없이 판에 박힌 상상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수수께끼의 샘플이 외계인의 촉수 조직이라는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혈액 펌프질이 멈춥니다. 그 직전에 전기적인 쇼크를 주면 펌프질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항공기나 공항, 지하철역과 같은 시설에 의무적으로 구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이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다만, 자동심장충격기로 심장충격을 실시할 때는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떼야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창’으로 보호막 만들어플라스마는 강력한 보호막 기능도 할 수 있다. 실제로 항공우주 겸 군수 업체인 미국 보잉은 플라스마를 사용해 광선과 충격파를 막아주는 ‘플라스마 장(plasma field)’을 개발하고 2015년 3월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기술 특허를 받았다. 포탄은 피한다고 전부가 아니다. 포탄을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1, 10 / ➏번-8, 13 스테가노그래피란?2001년의 9/11 테러범은 모나리자 사진파일에 납치할 항공기의 운항 시간을 숨겨 전달했다고 해요. 이처럼 메시지나 사진 같은 정보를 보이지 않게 감추는 방법을 ‘스테가노그래피’라고 합니다. 정보를 알아채지 못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스테가노그래피를 암호로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사방이 수평선인 망망대해에 배 한 척이 떠 있었어요. 선장으로 보이는 사람이 망원경을 꺼내 길게 뽑아들었습니다. 망원경을 눈에 갖다 대고 곳곳을 둘러본 선장은 무언가를 발견한 듯 얼굴에 미소를 떠올렸어요. 그토록 고대하던 보물섬을 찾은 걸까요? 선장이 이용한 망원경은 겹쳐서 작게 만들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경신 이야기(세경본풀이)’의 주인공이다. 자청비라는 이름은 스테판 슈뢰더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박사가 제안했다. 슈뢰더 박사는 세레스를 탐사 중인 무인탐사선 ‘돈(Dawn)’의 프레이밍 카메라 연구팀 소속으로 2007년부터 돈이 보내온 데이터를 토대로 세레스 등을 연구하고 있다 ... ...
- [과학뉴스] 종이접기로 만든 로봇 팔 트위스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 팔이 개발됐다. 이기주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기계항공공학과 교수팀이 만든 ‘트위스터’다. 트위스터는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 타치바나 미호코가 고안한 꼬여진 탑에서 영감을 받았다. 꼬여진 탑은 종이접기로 다각형 구조물을 만들고, 이 구조물을 여럿 합쳐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사일이 날아오면 날렵하게 피하는 능력도 탁월한데, 이 역시 레이저로 가능하다. 항공기를 격추하는 미사일은 대부분 적외선 추적 미사일이다. 즉, 목표물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을 미사일이 ‘보고’ 이를 쫓아가 격추한다. 이때 레이저를 쏘면 미사일이 쫓는 파장을 교란할 수 있다. 현재 미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