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유는 전해지지 않는다.이후 분수의 활용도는 점차 넓어졌고, 1580년대에 네덜란드 수학자 시몬 스테빈이 ‘소수에 관하여’라는 책을 쓰며 분수와 같지만 또 다른 형태의 수인 소수가 탄생했다. 같은 수인데 왜 소수를 발명할 필요가 있었을까? 이는 쓰임새에 따라 더 편리한 수의 형태가 있기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찾아 떠나는 힘든 여정을 통해 어렵게 수집한 샘플을 제공해준 많은 인류학자, 유전학자, 의사들의 공헌이 지대하다. 물론 연구를 위해 기꺼이 본인의 혈액이나 타액 샘플을 제공해준 이들에게도 이번 기회를 통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뿌듯하게 생각하는 것은, 필자는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무덤 축조 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새삼 알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수학은 고고학자들에게 마법의 안경 같은 존재입니다. 이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수학의 힘을 빌리면 고스란히 자신을 내보이기 때문이죠. 학문에는 왕도가 없다고 하지만, ‘새로운’ 고고학의 지름길은 바로 수학입니다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내가 발견한 왜소은하에 내 이름이 붙을수도 있습니다!③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시민과학자들이 분류할 천체 사진은 1월 말 현재 1만 4309장이고, 앞으로 더 많아질 거예요. 이 많은 데이터는 앞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천체 사진에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에요.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갤 정도로 쓸모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지금 로봇은 문 손잡이 하나도 잡기 어려워해요. 학자들이 “로봇이 쳐들어오면 어쩌냐고? 그럼 문을 닫아라!”고 농담할 정도지요. 책상에 놓인 책 하나를 잡을 때도 책의 질감, 강도, 위치,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수많은 책 잡기 전략을 일일이 계산해야 ...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것으로 추정되는 외계행성이 속속 밝혀졌다. 하지만 외계행성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천문학자들의 예측에 훨씬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루이스 웰뱅크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크기와 온도가 다양한 19개 외계행성을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종3품 대호군에 올랐다. 장영실이 부산을 떠나 한양에 온 지 30여 년 만에 조선 최고의 과학자로 인정받은 것이다. 그런데 장영실의 흔적은 1441~1442년 세종이 적은 몇 개의 일기로 끝으로 돌연 역사에서 사라졌다. 사라진 장영실, 어디로 갔을까“대호군의 사건이 내내 마음을 무겁게한다. (중략)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대북제재나 정치적,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 교수는 “아직도 외국 화산학자들에게는 백두산의 중국식 표기인 창바이산(長白山)이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는 게 현실”이라며 “영화 개봉을 계기로 국민들이 백두산에 관심을 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문턱값은 사회에서도, 과학에서도 복잡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통계물리학자인 저자는 통계학적인 개념이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에 얼마나 잘 들어맞는지 멋들어지게 설명한다. 그는 문턱값 외에도 누적확률분포, 팃포탯, 프랙탈, 푸아송분포, 지수함수 등 다양한 물리학적 개념을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연스럽게 잡으려면 필요한 게 더 있어요. 바로 ‘촉감’이에요. 1980년대 스웨덴 심리학자 롤렌스 요한슨은 성냥을 들어 불을 붙이는 행동에 촉감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피험자는 평소에는 재빨리 성냥에 불을 붙였지만, 둘째와 셋째 손가락을 마취시켰을 땐 25초나 걸렸지요.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