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분석하면서 기존의 진화 개념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대표적으로 1977년 미국 미생물학자인 칼 워즈가 메탄생성균의 RNA를 분석한 결과는 생명의 나무를 뿌리부터 바꿨다. 이전까지 생물은 진핵생물과 세균으로 나뉘었는데, 메탄생성균의 RNA는 진핵생물과도 세균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 ...
- [이달의 수학자] 3월 차별을 뛰어넘은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20년 03호
- 3월 23일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극찬한 수학자 에미 뇌터가 태어난 날입니다.뇌터는 1882년 독일 남동부의 에를랑겐에서 수학자 막스 뇌터 ... 기리기 위해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낸 여성 수학자를 ‘ICM 에미 뇌터 강연’의 강연자로 모십니다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전까지 콜라츠 추측은 수학자들의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진 거죠. 당시만 해도 수학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나 봅니다. 그러다 1972년 미국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칼럼을 포함한 6개의 출판물에 등장하며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목소리를 통해 지원자의 역량을 판단한다. 인에어의 판단 결과는 인사담당자, 심리학자 등으로 구성된 면접 평가단 200여 명의 평가 결과와 90%가량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선임연구원은 “사람은 면접관이 되면 어쩔 수 없이 주관적 견해가 들어갈 수밖에 없는데, AI는 이런 부분을 철저히 ... ...
- [연재작 출간 기념 책수다]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전공한 게 그냥 나비 날개가 예뻐서라는 단순한 이유거든요. 언젠가 우리 만화를 보고 수학자가 됐다는 친구를 만나면 정말 좋겠어요. 다솔 전 취재 뒷담을 13편이나 쓰느라 힘들었지만 작가님과 의논하며 만화를 진행하던 생각이 나 재밌었어요. 작가님이 아녜시 생가를 방문한 것도 빼먹지 않고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유는 전해지지 않는다.이후 분수의 활용도는 점차 넓어졌고, 1580년대에 네덜란드 수학자 시몬 스테빈이 ‘소수에 관하여’라는 책을 쓰며 분수와 같지만 또 다른 형태의 수인 소수가 탄생했다. 같은 수인데 왜 소수를 발명할 필요가 있었을까? 이는 쓰임새에 따라 더 편리한 수의 형태가 있기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하며 생각하는 사고법을 ‘과학 리터러시’라고 부른다. 저자는 과학자뿐 아니라 대중에게도 과학 리터러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에는 버스, 기차, 식당 등 폐쇄된 공간에서도 흡연이 허용됐다.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 몰랐고, 그래서 과학 리터러시가 작동할 수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전자레인지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945년, 레이더 부품을 만드는 회사인 레이시온에서 마그네트론을 시험하던 물리학자 퍼시 스펜서는 자기 주머니에 들어있던 초콜릿이 녹아있는 걸 발견했어요. 그는 마그네트론에서 만들어진 전자기파가 초콜릿을 녹였을 거로 추측하고, 몇 가지 식재료를 더 가지고 와서 실험했지요. 옥수수에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찾아 떠나는 힘든 여정을 통해 어렵게 수집한 샘플을 제공해준 많은 인류학자, 유전학자, 의사들의 공헌이 지대하다. 물론 연구를 위해 기꺼이 본인의 혈액이나 타액 샘플을 제공해준 이들에게도 이번 기회를 통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한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뿌듯하게 생각하는 것은, 필자는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내가 발견한 왜소은하에 내 이름이 붙을수도 있습니다!③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시민과학자들이 분류할 천체 사진은 1월 말 현재 1만 4309장이고, 앞으로 더 많아질 거예요. 이 많은 데이터는 앞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천체 사진에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에요.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