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옷감
피륙
직물
헝겊
천개
천달러
chen
d라이브러리
"
천
"(으)로 총 5,28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고생대 말인 약 2억6
천
만년 전 적도. 곤드와나대륙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조용하지만 큰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땅속 수백km의 깊은 맨틀로부터 거대한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북한과 중국의 경계를 이루는 장백산맥의 최고봉인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명산으로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남아있다. 특히 하늘 아래 물로 가득한
천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진다. 이에 비해 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설치된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은 전자를 1
천
kV 이상의 초고전압으로 가속시켜 0.12nm 크기도 구별할 수 있다. 원자 간 간격이 보통 0.1-0.2nm이므로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면 원자 하나하나까지도 알아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0.12nm 분해능은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동물원이 이미 20여년 전부터 발전하고 있다.미국의 네브라스카 오마하동물원은 지난해 4
천
평 규모의 커다란 사막돔을 지었다. 세계의 유명한 사막 환경을 재현하고 그곳에 살고 있는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뿐만 아니라 선인장 같은 식물류 등 다양한 생물상을 그대로 옮겨온 듯 하다. 한 장소에서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간의 뇌에는 약 1
천
억개의 뉴런이 존재하는데 뉴런 1개당 수
천
개의 시냅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뇌에 있는 총 시냅스의 수는 ${10}^{14}$-${10}^{15}$개나 된다. 뇌에는 이렇게 수많은 시냅스로 이뤄진 다양한 신경망이 복잡한 그물처럼 형성돼 있다. 이런 신경망의 패턴들은 뇌의 ... ...
아름다운 머리카락 속의 검은 눈 'M64'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돌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통 은하에서는 안쪽이나 바깥쪽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다.
천
문학자들은 검은 눈 은하의 이런 현상을 10억년 전에 주변의 작은 은하를 잡아먹은 결과로 설명했다. 물론 지금은 작은 은하가 완전히 파괴됐고 회전 방향의 차이로만 흔적을 남겼다.은하 바깥쪽의 파란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교수로 재직 중이다.프랑스 최초의 여성 우주인 클로디 에뉴레는 의대 출신이다. 1985년 1
천
명의 지원자 중 7명의 우주인 후보로 선발됐고, 1996년 미르 우주정거장에 탑승해 비행한 후 귀환한 그녀는 현재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활약 중이다.이스라엘 최초 우주인 일란 라몬 공군 대령은 중동전에서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난 1월에 열대 곤충을 만날 수 있는 말레이시아 타만네가라의 정글로 뛰어들었다. 1억3
천
만년이라는 시간이 만들어놓은 열대우림과 그 속에 서식하는 곤충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동서로 나뉘어 있는 말레이시아에는 열대우림을 간직한 정글이 많이 있다. 그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정글은 넓이 43만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보인다. 소형망원경에서 중심부가 좀더 밝고 주변부로 갈수록 뿌옇게 흐려지는 구름형
천
체로 나타난다. 중형망원경이 되면 성단의 가장자리가 개개의 별로 구분되기 시작하여 대단히 화려한 모습으로 변신한다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까닭은 가스식에서는 핵연료봉으로 금속 대신 흑연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가스온도가 1
천
℃ 이상이기 때문에 금속 핵연료봉은 녹아버릴 위험이 있다. 그래서 가스식에서는 고온에 녹지 않는 흑연 연료봉을 사용한다.그런데 흑연 연료봉은 가스가 유출된 후 며칠이 지나도 핵반응로의 온도가 위험한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