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옷감
피륙
직물
헝겊
천개
천달러
chen
d라이브러리
"
천
"(으)로 총 5,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
천
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3월 4일자 인터넷판에 발표된 논문에서 바닷물에서 미생물 게놈을 추출해 10억5
천
만 염기쌍을 한꺼번에 분석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게놈 해독 결과 모두 1백20만개의 유전자를 찾아냈는데, 이는 이제까지 분석된 미생물 유전자의 거의 10배에 해당하는 양이다.벤터 박사는 샷건(shotgun)이라는 ... ...
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반도 땅에는 30억년의 역사가 담겨있다. 그동안 한반도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과학동아는 과학의 달 4월을 맞아 공동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지구는 46억년 전 태양계의 수많은 미행성들이 충돌해 뭉치면서 탄생했다. 불덩어리였던 원시지구가 점점 식으면서 44억년 전쯤에는 육지가 형성되기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04. 땅속 불구덩이가 화강암 절경 이뤄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반도 면적의 1/3 이상은 화강암 지대다. 동네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이 화강암인 것이다. 그러다보니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이 화강암을 여러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동해 바다의 물을 거둬내고 그 안을 들여다보자. 그 안에는 3
천
m 깊이 아래로 넓은 분지가 있고, 분지 안에 툭 튀어나온 돌출부가 있다. 이 돌출된 부분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이 푹푹 빠지고 옷이고 얼굴이고 진흙투성이로 만들어버리는 서해안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한반도 면적에 비해 매우 넓다. 서해 갯벌은 ... 07. 2
천
m 높이 해산에 솟아난 독도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
혜의 갯벌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업들은 매년 수십억원을 포상금으로 내걸며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개인별 연봉도
천
차만별이어서 실력있는 과학기술자에게는 최고의 대우가 보장된다.김준효 변호사는“발명 하나로 수백억원을 번 과학기술자가 나온다면 이공계가 이처럼 홀대받지는 않을 것”이라며“새로운 기술개발로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중요성과 뇌에 대한 지식을 알리기 위해 공개강연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시작 전부터 1
천
8백석 좌석은 이미 절반 가량 채워졌다.서울과학고에서 생물을 가르치는 김학현 교사도 학생들을 데리고 일찌감치 중앙에 자리를 잡았다. 함께 온 신입생 허지영양은 “중학교 때는 뇌가 어떻게 생겼는지만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4종의 개체수는 40년간 28% 감소했다.지구는 이미 크게 5번의 대멸종을 경험한 바 있다. 2억5
천
만년 전,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멸종이었다는 폐름기 대멸종 때는 당시 생물의 96%가 사라졌다. 이는 공룡을 멸망시켰던 가장 최근의 대멸종인 6
천
5백만년 전(백악기)보다 3배나 큰 규모였다.이밖에 1억9
천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미국의 칼 세이건 박사 원작의 영화 콘택트다. 지금은 고인이 된 세이건 박사는 유명한
천
체물리학자이자 과학저술가였다. 그는 생전에 외계 생명체를 찾는데 열정을 받쳤고 원작소설 콘택트에도 전파를 통해 외계 문명과 교신하려는 노력을 담아냈다. 소설이 나온지 10년 만에 영화화됐고 세이건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