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단결정 태양전지판은 실리콘 원자를 결정으로 정제해 전지판을 이루는 단일 셀(cell)
전체
가 하나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태양전지다. 최근에는 제품의 효율이 22%까지 증가했다. 수명도 20년 내외로 길다. 셀이 여러 개의 실리콘 결정으로 이뤄진 다결정 태양전지(15~19%)보다 효율이 높다. 또 기판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얼마나 될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우주에 존재하는 별과 행성, 가스 등 보통물질은
전체
의 5%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로 채워져 있다고 본다. 하지만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는 직접 관측할 수 없고 은하의 관측 결과 등을 토대로 그 존재를 추정할 뿐이다. 최근에는 암흑물질을 ... ...
[수학뉴스]초등부터 단계별 ‘AI 교육 기본계획’ 마련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서울특별시교육청은 교육부 양성 인원에 더해 5년간 800~1000명의 AI 전문교사를
전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1명 이상씩 배치할 계획입니다.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이 지진의 여파로 30m 높이의 해일이 발생할 수도 있고요.하지만 뉴욕은 무너져도 지구
전체
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을 거예요. 적어도 지구 질량은 70억 명의 사람보다 10조 배는 무겁거든요. 그래서 사람들이 한꺼번에 뛴다 해도 지구가 공전 궤도에서 이탈해서 화성과 가까워지는 일은 없을 거라 ... ...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Q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요? 연구를 통해 남극의 얼음이
전체
적으로 높이가 1m 정도 감소하면 한반도 근처의 해수면은 38~42c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안 모양과 도로는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 있죠. 또 실제로 대비하는 데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각자가 속한 종족과 행성, 소속 집단, 활동 시기 등이다. 그런 뒤 세부적인 그룹을 나누고
전체
등장인물 정보를 속성에 따라 각 그룹으로 나눠 정리했다.이 과정을 마친 뒤에는 각 등장인물을 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A라는 인물을 설명하는 페이지에 B라는 인물이 언급되면 서로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수집된 정보는 광섬유를 타고 엔지니어들에게 빠르게 전달된다. 1단을 포함한 발사체
전체
가 정상 작동하는지 원격으로 추적하는 원격자료수신장비(텔레메트리)도 있다. 나로호는 최대 초속 8km로 날아가면서도 위치 정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됐다. 텔레메트리는 최대 2000km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더 두려운 건? 백두산이 정말 분화한다면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영화에서는 “한반도
전체
에 미치는 피해가 48%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뉴스 속보와 함께 서울이 백두산 분화의 직격탄을 맞는다. 한강에는 화산재가 쓰나미처럼 몰려오고, 건물은 날아오는 화산석과 충돌해 하나둘 쓰러진다.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이용해 175가지 종류의 유전자 교정 실험을 진행한 결과 교정 성공률이 최대 70%에 달하며,
전체
유전질환의 89%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예로 낭포성 섬유증이 있다. 이 병은 기도세포에 있는 ‘CFTR’이라는 유전자에서 508번 페닐알라닌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결손이 생겨 ... ...
[통합과학교과서] 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배병선 소장은 “정자가 연못 위에 있어 지반이 약한 탓에 온돌을
전체
적으로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작은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자리만 따뜻해도 충분하다고 여겼을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또 다른 재밌는 추측도 있어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