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서로 얼마나 일치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머신러닝과 수학을 사용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인공
지능(AI)으로 군무 일치도를 분석했다는 것이죠. 호주 변호사라는 채널 운영자가 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었는지 과학동아가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과연 칼군무 1위 아이돌은 누구일까요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실제 폐 같은 정교한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오가노이드를 폐, 콩팥 등
인공
장기로 키워 장기 이식까지 가능하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암 발생 유전자 찾아 표적 치료 정 교수팀은 암 줄기세포도 연구하고 있다. 암 줄기세포는 줄기세포가 일반적으로 가진 자기재생능력과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성 등이 찍은 저화질의 이미지를 보고도 산호를 식별할 수 있을 거예요. 연구팀은 “
인공
지능을 학습시켜 모든 이미지에서 산호를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호 파괴의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찾아내고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용어정리mbb/g: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신경망’을 사용해요. 합성곱 신경망은 인간이 이미지를 보고 인식하는 과정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의 한 종류예요. 사람은 사진 속 강아지의 귀, 꼬리, 털 등의 특징을 보고 강아지라고 판단하잖아요. 합성곱 신경망 역시 전체 이미지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특징을 통해 어떤 사진인지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는가가 국가나 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
인공
위성에서 매일 수집되는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와 현장 조사 결과가 더해져 미래 극지 탐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특정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무인기와 넓은 지역을 광범위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인공
위성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면 극지를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시절 무인기로 지형을 측량하는 공부를 한 경험을 살려 극지의 독특한 지형을 연구해나갈 계획입니다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제게 큰 행복이었기 때문에 K팝 커뮤니티에 어떤 식으로든 보답하고 싶었습니다. 그게
인공
지능(AI)을 활용해 아이돌 그룹의 안무를 분석한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이 기회에 K팝 아이돌 그룹들이 얼마나 재능 있고 열심히 하는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제 코딩 실력도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장난감으로 만날 수 있도록 완구 회사에 제품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했어요. 그 노력으로
인공
와우나 의족을 한 장난감, 얼굴에 큰 반점이 있는 인형 등이 출시되었지요. 장난감으로 인식 변화를 이끄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답니다. _미니인터뷰리타 에벨(Die Lego Oma) “레고, 휠체어 경사로로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1년 동안 준비한 연구가 물거품으로 돌아가는 순간이었다. 이런 수많은 실패 경험과
인공
위성 원격탐사를 통해 북극 연구는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약 130년 전 최초로 북극점 탐험을 시도한 노르웨이의 탐험가 프리드쇼프 난센은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말이다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의도와 행동을 이해하려고 하는 건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실제로 초월적인
인공
지능이 등장한다면, 이렇게 우리의 이해 범위를 뛰어넘는 존재일 수 있습니다. SF에서는 특이점 이후 인간과 사회의 변화에 관한 다양한 사고실험이 가능합니다. SF의 역할이란 바로 이런 것이죠. 미래를 예측해야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