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묶는 게 좋습니다.저는 고등학교 1학년 때 과학 동아리에서 다양한 실험을 했고, 그 뒤 DNA 관련 실험을 더 해보고 싶어서 1학년 말 학교에서 열린 과학 실험 방과 후 교실에 참가해 DNA 전기영동 과정을 직접 실습해보기도 했습니다. 더 전문적인 실험을 해보고 싶어서 동아리 친구들을 모아 직접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공예 유튜버 ‘우주공간’은 클레이를 작은 정육면체로 쪼갠 뒤, 이를 쌓아올리고 붙여서 바다 신전을 만들었습니다. 바다 신전 주변에 클레이로 만든 플레이어 캐릭터와 해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도 볼거리입니다.구성 요소를 다 배치한 후에는 투명한 수지를 가득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삼원색이 모두 한곳에 모이면 흰색 빛인 백색광이 됩니다. 이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수TV - 실험 영상에 댓글로 올려 주세요. 응모한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 [그래프뉴스] 검은코뿔소를 지킬 방법이 머니? 야생동물 보호 채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3.7~9.2%의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만약 100만 원어치의 코뿔소 채권을 샀다면, 5년 뒤 최대 9만2000원의 이자를 받는 거예요. 하지만 검은코뿔소의 수가 늘지 않으면 이자를 받을 수 없어요. 코뿔소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더 많이 기울여야 이자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지요. 용어설명이자★ 다른 ... ...
- [1교시] 변형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해결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교시 문제를 수학자처럼 그래프를 이용해 풀어 볼게요.먼저 여학생 9명을 점으로 표현한 뒤 같은 줄에 설 3명을 임의로 골라 선으로 연결해 삼각형을 만들어요. 그래프로 푸는 변형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 첫날은 (2, 3, 4), (5, 6, 7), (1, 8, 9)가 한 조가 됐어요. 삼각형이 3개 있는 그래프가 그려진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해저 유적 정복하기 1. 가장 적은 레벨로 아이템에 마법 부여하기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그 모자에 견고Ⅲ 마법책을 부여할 수도 있고, 견고Ⅲ 마법책을 호흡Ⅲ 마법책에 적용한 뒤 이 마법을 모자에 부여할 수도 있는데, 이때 드는 레벨의 값이 다른 거지요. 여러 조합 중에서 가장 적은 레벨을 사용해 모자에 마법을 부여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또 레벨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 ...
- [과학뉴스]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 … 그리고 비봉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수족관에서 오래 머물렀던 것도 문제가 됐다. 비봉이는 미성년인 5~6세에 불법 포획된 뒤, 17년 동안 수족관에서 지냈다. 그래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비봉이가 야생으로 돌아가 잘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의견이 갈렸다. 지난해 말 비봉이 소유권자인 ‘퍼시픽 리솜’이 돌고래쇼를 폐지하고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본업은 연구자다.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화학을 전공한 뒤 연세대에서 기술정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LG화학, 사우디아라비아 기초산업공사 등 화학 회사에서 일하던 곽 작가는 2022년부터 숭실사이버대 환경안전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곽 작가는 2006년부터 ...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안 와서 지치고 있을 때쯤 우렁찬 소리가 들려왔어요. 평범한 무궁화였죠. 그런데 바로 뒤에 진귀한 ‘에코레일’이 지나갔어요.(한결)” 진정한 철덕은 선을 지킨다두 철덕은 철도덕질을 할 때 적절한 선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고, 물품을 모을 때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미국과 일본만 성공했을 정도로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이다.실제로 다누리는 발사된 뒤 태양 중력에 이끌려 지구와 멀어져 L1 라그랑주 점 근처까지 항행한다. 여기서 지구 방향으로 궤적을 수정한다. 달이 지구 남쪽에 있을 때 달과 함께 지구 반 바퀴 정도를 돌고, 달이 지구 북쪽에 오게 되면 달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