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담아 왔어요. 따분행! 캠패인김가윤 기자 따·분·행! 첫 도전!음료를 다 마시고 난 뒤 페트병 뚜껑과 비닐을 떼어내 분리배출했어요. 직접 분리배출을 실천한다는 것이 자랑스러웠어요. 앞으로도 계속 따·분·행! 캠페인에 참여할 거예요! 줍깅탐사박윤 기자 산책길에 줍깅동네를 산책하며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repeat)’, ‘변수-변수 ‘단계’’, ‘계산-더하기’, ‘계산-곱하기’ 명령블록을 가져온 뒤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➑ ‘몹-소환’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위치-랜덤 위치’, ‘월드 좌표’ 명령블록을 가져와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➒ ‘배열-리스트에서 임의의 값’ ... ...
- [화보] 사진보다 더 생생하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보고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 가장 닮은 도형을 찾아내고, 대상의 골격을 그린 뒤 뼈와 근육, 피부, 비율 등 세부적인 사항을 추가하며 그림을 완성해요. Q. 어린이수학동아 독자에게 한 마디! 과학 일러스트는 과학자들이 밝혀낸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고생물뿐만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해저 유적 정복하기 1. 가장 적은 레벨로 아이템에 마법 부여하기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그 모자에 견고Ⅲ 마법책을 부여할 수도 있고, 견고Ⅲ 마법책을 호흡Ⅲ 마법책에 적용한 뒤 이 마법을 모자에 부여할 수도 있는데, 이때 드는 레벨의 값이 다른 거지요. 여러 조합 중에서 가장 적은 레벨을 사용해 모자에 마법을 부여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또 레벨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 ...
- [취미코딩] 게임하는 인간을 이해하는 곳, e스포츠 연구실을 가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수 있나요?”설명이 끝나자 참가자들의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많은 질문과 답변이 오간 뒤, 이 교수는 “코딩이나 통계 실력보단 과학적사고 능력과 글을 잘 쓰는 것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연구에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이며 이날 견학을 마쳤습니다 ... ...
- [과학뉴스] 단백질 구조 2억 개 품은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은 단백질 구조 예측 능력 평가 대회인 CASP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성능을 자랑했다. 그 뒤 2021년 7월, 구글 딥마인드가 알파폴드2 소스 코드를 처음 공개했을 때는 약 2만 개 단백질에서 36만 개 구조를, 1년이 지난 지금은 100만 개 단백질에서 2억 개의 구조 데이터를 예측한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거의 ... ...
- [특집] 냉정한 기술 생태계에서 살아남을 개발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여기에는 실제 그의 경험이 녹아있다. 황 엔지니어는 대학에서 산업공학을 전공한 뒤 물류센터에서 첫 직장을 시작했다. 당시 그는 본인의 업무 중 대부분이 컴퓨터로 대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대체할 수 없는 일을 찾던 중 개발자의 길을 선택했다. 그는 “‘전통적인 의미의 개발자’는 ...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엉덩이뼈의 바구니’ 안에서 한꺼번에 발견된 것이다. 그리고 연구를 진행하며 골절된 뒤 아문 흔적이 가득한 갈비뼈와 꼬리뼈의 힘줄, 비대칭적인 꼬리곤봉에 더욱 주목했다. 타르키아의 옆구리를 강타한 범인의 정체타르키아의 갈비뼈는 척추에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뻗어 있었다. ... ...
- [한장의 기후위기] 꽃이 피자 대나무가 쓰러졌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일어났다. 8월 5일 기자가 찾아간 경남 밀양도 그중 한 곳이다.대나무는 보통 꽃을 피운 뒤 말라죽는다. 그런데 개화는 늘 있는 일이 아니다. 대나무 꽃은 짧으면 60년, 길면 100년에 한 번씩 핀다. 정재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연구사는 “(개화 및 고사 현상이) 이렇게 넓은 범위에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하는 이 수치는 지금 일 강수량 187.1~318.4mm 수준인데, 고탄소 시나리오에선 60년 뒤 70.8~311.8mm 더 늘어날 수도 있다는 의미다. 또 찾아올지 모를 물난리에 단단히 대비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다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