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열"(으)로 총 1,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19
- 거울 대칭 구조를 보이는 아미노산 가운데 어떤 모양을 넣느냐에 따라 또는 단백질의 서열에 따라 표면에 만들어진 결정 무늬가 바뀌었다. 마치 태극무늬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무늬가 생긴 금 나노 주사위가 생기기도 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무늬를 지닌 금 나노 주사위가 ... ...
- 바다에 사는 코브라, 바다뱀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8.04.11
- 있다. 김 박사는 국내에서 포획된 바다뱀 12마리의 ‘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 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본 오키나와현에 속하는 섬들인 류큐 열도 주변 해역과 타이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바다뱀의 유전자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주로 타이완 난류나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 ...
- 독성물질 보톨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04.05
- 류 책임연구원은 “현재 미국, 유럽 등의 유전자 은행은 세계 각국에서 발견된 균의 염기서열을 공개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주장에 따르면 이를 공개한 미국과 유럽의 연구소나 기업들은 지적재산권을 포기했다는 의미인데, 이는 합당한 주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출처 : 과학동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정신적 신분사회, 노력하면 행복할까? 2018.04.01
- 집단을 이룬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다만 일반 침팬지처럼 ‘폭력’으로 서열을 정하는 일이 드물다는 것이죠. 현대 사회엔 ‘타고난 신분’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분명 누구나 법 앞에서 평등하죠. 하지만 이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라면, 위계 질서를 인정한다는 말과 ... ...
- 열대 심해 서식 ‘유령오징어’ 동해에 잇달아 출현, 왜?동아사이언스 l2018.03.27
- 정 박사는 긴팔오징어의 유전바코드 분석을 완료했으며,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동욱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기반연구본부장은 “앞으로 긴팔오징어의 출현과 기후변화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 나갈 것”이라고 ... ...
- 유전체 빅데이터로 질병 유전자 80% 예측…신약 개발 비용·시간 확 줄인다동아사이언스 l2018.03.26
- 알고리즘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기존 알고리즘은 유전체 빅데이터에서 개개인의 염기서열 차이를 나타내는 ‘스닙(SNP)’을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해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후보군을 가려낸다. 남 교수는 “수십만에서 백만 개 이상의 스닙을 대상으로 해도, 부정확한 정보를 엄격하게 ... ...
- 부모 보살핌, 신생아 DNA에 영향 미친다… 동물실험 입증동아사이언스 l2018.03.23
- 트랜스포존인 ‘L1 레트로트랜스포존(이하 L1)’에 주목했다. L1은 약 6000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긴 DNA로, 포유류의 경우 전체 게놈의 약 17%를 차지한다. 쥐는 하나의 게놈 안에 약 3000~4000개의 L1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쥐의 뇌세포 게놈에서 L1이 몇 개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8.02.27
- 연구자들은 후속 연구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2월 15일자에 발표했다. 기존에 게놈 서열이 알려진 감귤류 28가지에 새로 30가지의 게놈을 해독해 감귤류의 가계도를 거의 완성한 것이다. 감귤류 58가지의 게놈을 토대로 추정한 감귤류의 기원과 분화, 전파경로를 보여주는 지도다. 이에 따르면 ...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과학동아 l2018.02.16
- 나뉜다. ※ 단일염기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인간의 유전체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은 약 99.9% 일치하지만 0.1% 정도가 개인마다 다른데, 이를 유전변이형이라고 한다. 유전변이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변이를 SNP라고 부른다. SNP에 의해 외모와 체질, 질병 발생 위험, 약효 등에 차이가 ...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읽어 염기 서열을 읽는다. 30억 쌍에 이르는 DNA 가닥을 순서대로 통과시키기만 하면 전체 서열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로 그동안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길이는 1만 쌍 정도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이아랑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 연구원은 “전기 신호를 더 정교하게 읽어내 1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