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압복의 일종인 ‘마크 IV’ 비행복을 개발했다. 가압복은 조종사의 몸을 압박해 혈액
흐름
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막아주는 특수한 옷으로, 주로 고고도 항공기나 초음속 실험 항공기를 모는 조종사들이 입었다. 원래는 조종사용으로 만들어진 마크 IV가 빛을 본 것은 1958년 미국의 첫 번째 ... ...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심연 속으로 천천히 빨려 들어가는 배 안에서 공포에 질려 있던 ‘나’는 마엘스트롬의
흐름
속에 떠 있는 물체들 중에서 크기가 크고 불규칙한 형태의 물체일수록 소용돌이 속으로 빨리 하강하는 반면, 크기가 작고 원통형인 물체는 소용돌이 속에서 유독 천천히 이동해 거의 빨려 들어가지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도시공학과 김동선 교수는 ‘철도 르네상스’라고 부를 만한 최근의 철도붐이 세계적인
흐름
임을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해 말 중국은 자체 기술력으로 평균속력 시속 350km의 고속철을 개발해 광저우~우한 1100km 구간에서 운행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앞으로 고속철도에 우리 돈으로 100조 원 이상을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는 한쪽 귀퉁이가 무너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적도에서 오는
흐름
도 약해질 터. 이
흐름
이 멈춘다면 유럽과 북미는 최소한 3~3.5℃ 기온이 급강하해 빙하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 영화 ‘투모로우’처럼 말이다.분명 이상기후는 어느 한쪽이 고장 났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균형 현상이다. 하지만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경계면에서 우주먼지가 가스처럼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계면의 에너지
흐름
을 관찰했다. 편의상 블랙홀 경계면에 가까운 ‘안쪽 영역’과 별과 먼지가 떠다니는 ‘바깥쪽 영역’을 구분했다.관찰 결과 온도가 높은 안쪽 영역에서 입자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여기서 발생한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학술교류회’에서는 엄 교수를 비롯한 석학 6명의 강연과, 국내외 융합과학의 새로운
흐름
과 발전방안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이어졌다. 수백 명의 청중이 참석한 이 행사는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내에서 진행 중인 흥미로운 융합연구 사례들이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수와 속도를 측정한다.지능형 신호등자료를 통해 도로의 상황을 파악하면 그에 맞게
흐름
을 관리해야 한다. 자동차의 속도와 수를 토대로 계산해 신호에 막혀 기다리는 자동차가 가장 적도록 신호등을 자동으로 켜고 끈다.차량 인식앞으로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신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바로 이 구의 단면인 원과 같습니다. 만약 4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이 있다면 시간의
흐름
인 4번째 축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겠지만, 3차원에 사는 우리로서는 그 단면밖에 보지 못하는 것이지요.Epilogue_시간여행자는 80만 년 뒤의 세상에서 미래의 인류인 엘로이와 몰록을 만납니다. 타임머신을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힘을 이용하는 경기야. 선수가 공기 속을 빠른 속도로 지날 때 선수 위쪽의 공기
흐름
이 아래쪽보다 빠르면 선수는 위로 뜨게 돼. 속도가 빠른 위쪽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지. 이 때 스키를 V자로 벌리고 30° 정도 들면 가장 멀리 날 수 있어. 스키판의 폭을 넓히고 바닥에 4~6개의 홈을 파서 공기가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둑을 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둑을 높이 쌓는 것 같은 구조적인 해결책에서 하천의
흐름
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피해가 예상될 때는 주민들을 최대한 빨리 대피시키는 비구조적인 대응책으로 방향이 바뀌고 있습니다.”최근 하천에 관련된 토목공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스마트 리버에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