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냄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 받은 태양에너지를 전자의
흐름
으로 만들어내 산화환원작용의 에너지로 쓰는 것과 같은 원리다. 식물의 잎이 광합성을 할 때 엽록소라는 염료가 빛을 흡수한다. 이에 비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나노 크기의 염료분자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판독을 요청해
흐름
을 끊는 식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그렇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경기의
흐름
을 끊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공의 정확한 위치를 심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과연 현존하는 어떤 기술이 이 조건을 만족시킬까.1. 매의 눈으로 보는 호크아이축구팬으로 알려진 테니스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달리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없다. 그래서 진동이 적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공기
흐름
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최대한 차체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머신으로서는 매우 적절한 엔진인 셈이다.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돼 온 낮은 효율도 최근 기술개발을 통해 향상되면서 가스터빈 엔진은 현실성 ... ...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
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다. 실제로 기상연구원들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경로나 태풍의 특성과 같은 과거 기록을 분석하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정말 많거든.또 수학자의 일대기나 수학 이론의 완성 과정을 소개한 책은 수학의 전체
흐름
을 더 쉽게 알 수 있어. 이것은 수학자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이론을 발견했는지 설명해 주기 때문이지.수학책은 학교에서 배운 수학 내용에 흥미를 더해 주기도 해. 방학을 이용해 문제집에 ... ...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실까요? 일주운동 (강지수, 일반부 동상)하늘의 별을 한 시간 정도 촬영하면 시간의
흐름
에 따라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제1막 빙글빙글~, 자전과 공전 쇼제1막은 빙글빙글 도는 것이 주특기인 주인공들의 특별 공연입니다. 오, 지구의 위성인 ‘달’님이 첫 번째로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바람이 더 빠르게 지나가요. 그런데 공기의
흐름
이 빠르면 압력은 작아지고, 공기의
흐름
이 느리면 압력은 커져요. 이걸 ‘베르누이 원리’라고하지요. 그 결과 압력이 큰 날개 아래쪽에서 압력이 작은 날개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생겨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모험을 하는 동안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줄어들었던 것.뇌파는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
이다. 주파수 8~13Hz인 알파파는 심신이 안정됐을 때 늘어나고 13~30Hz인 베타파는 각성이나 긴장 상태에서 우세하다. 따라서 일상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뇌 활동의 변화는 주로 알파파와 베타파를 측정해 해석한다.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2002년 UCLA 연구팀은 하와이 케크망원경으로 궁수자리 A*로 빨려 들어가는 가스와 먼지
흐름
을 포착했고, 같은 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칠레 유럽남반구천문대(ESO) 거대망원경 VLT를 이용해 은하 중심을 초속 5000km로 15.2년에 한 번씩 돌고 있는 별 S2를 발견했다. 그동안 궁수자리 A* 주위에서는 2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큰 홍수에 대처할 때 위험하기도 하지만, 환경 측면에서도 약점이 있다. 보는 물의
흐름
을 느리게 해 수질을 나쁘게 만들기 쉽고 생태계를 단절시킨다. 따라서 기능을 다한 보는 없애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2008년 환경부에서 나온 바 있다. 보 때문에 수위가 높아져 지하수위가 함께 올라가 주변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