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IMU 아바쿠스상 인터뷰] “여러 분야를 연결해 깨달음을 주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오래 고민하며 답변했습니다. 특히 학생들에게 한마디 해달라는 질문에는 더 깊게 2분
정도
생각한 뒤 대답했습니다. 수상 소감처럼 자신의 말이 미칠 영향력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었지요. 브레이버먼 교수는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알고리듬과 데이터 구조 그리고 계산 이론을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키를 재는 단위부터 달라요. 보통 박테리아는 2마이크로미터
정도
돼요. 0.0002cm
정도
인 거죠. 하지만 저는 1cm예요. 사람들의 속눈썹이 보통 이만하니까 현미경 없이도 저를 볼 수 있는 셈이죠. 저를 연구한 장-마리 볼란드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박사님은 우리를 발견한 게 “에베레스트만큼 ... ...
[편집장이 허락한 이달의 꼼지락] 과학동아 편집부가 머리에 옷걸이를쓴 까닭은?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머리에 옷걸이를 씌우면 옷걸이의 모양 때문에 두피가 좌우 다른
정도
로 밀려나는데, 몸이 이 차이를 바로잡기 위해 고개를 돌린다는 설이 있습니다. 일본 가나자와 신경외과병원과 전기통신대 등 공동연구팀이 지지하는 건 마지막 가설입니다. 옷걸이 반사를 잘 이용하면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 작지만 큰 ‘용기’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좋아졌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여전히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플라스틱이 전체의 10%
정도
를 차지한다”며 “유색 플라스틱 폐기물의 비율이 줄수록 투명 페트 플레이크의 품질도 개선되고, 공정 비용도 줄어들 것”이라고 짚었다.펠릿 공정 투명 페트 플레이크는 이제 펠릿 공장으로 향한다.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걸 알았다. 열 가지를 요구하고 싶지만 꾹 참고 한두 가지만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 그
정도
도 받아들여 주지 않는 자기에게 서운할 수도 있었다.“한두 개면 나도 하지.”엠마 스톤이 죽어가자 그간 다소 냉랭했던 자신에게 가책을 느낀 민연애는 성격을 누르고 그녀의 비위를 맞춰 주었다. 그러자 ... ...
[광고] MORRIS │ 마르지 않는 펜으로 그리는 친환경 세상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펜 선은 두껍고, 필기감도 좋다. 특히 공부할 때 자주 쓰는 형광펜은 글자 위를 덮을
정도
로 넓어 표시한 부분을 한 눈에 보기 쉽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단점도 있다. 펜촉이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면 심지 속 휘발성분이 쉽게 날아가 잉크와 심지가 굳는다.모리스는 펜 내부의 구조를 개선해 이런 ... ...
[특집] 식물도 기후변화에 반응하는 중! 식물들의 시간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개화가 조금 늦어졌다고 분석되지만, 평년● 개화일인 4월 10일에 비하면 일주일
정도
빨리 피었습니다. 그러면 다른 꽃들은 어떨까요?2020년 국립수목원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산림의 식물들을 관측해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개나리나 진달래, 생강나무 등 우리나라의 낙엽활엽수●들의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모습이 눈으로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루띠가 관측 장비로 혜성을 살펴봤습니다.“이
정도
크기면 아까 그 대륙은 흔적도 없이 날아가겠는데?”“그러면 아까 만난 나무들이 모두 죽는 건가요?”“그렇지. 수천만 주민이 죽는 거야.”딱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반드시 혜성 충돌을 막아야겠다고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님과 친해지게 됐습니다. Q. 수학자들 사이에 ‘허준이 체’라는 말이 있을
정도
로 글씨를 예쁘게 쓰시는데요. 글이나 글씨를 잘 쓰는 것이 수학 연구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수학이 소통의 한 형태이고, 글쓰기는 인류가 발명한 가장 복잡한 형태의 소통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글쓰기가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3의 배수를 지우는 방식으로 소수를 알아내는 거예요. 쌍둥이 소수 추측은 체 법이 어느
정도
결과를 낼 수 있는 문제로 알려져 있어 도전했어요. 또 정수론의 오래된 아주 유명한 문제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어요. 같은 맥락에서 앞으로 ‘리만 가설’에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 Q. 교수님과 비슷한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