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한다. 가정에서 사용될 물은 샤워나 설거지를 할 수 있을 정도보다 좋으면 된다. 반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될 물은 초순수와 동일해야만 재사용이 가능하다.다음으로는 처리기술이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실제로 사용되기 어렵다.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다르게 되며 그 두께가 전자의 페르미 파장 정도이어야 한다 금속의 경우 수십Å 미만,
반도체
의 경우는 수백-수천Å 미만이어야 한다양자우물 구조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한차원 더 구속시켜 전자의 움직임이 1차원이 되는 구조 이때 전자의 에너지는 1차원 방향의 임의의 에너지 값에 횡적 2차원 ... ...
2. 포탄 공격에도 끄떡없는 고성능 장갑차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구리의 1.7-17배에 달하는 등 매우 특이한 소재다. 이 외에도 우수한 전자 차폐 기능과
반도체
특성을 갖고 있어 앞으로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고강도 나노복합재를 만드는 과정은 직조과정과 비슷하다. 길게 뽑아낸 탄소나노튜브를 실처럼 꼰 다음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용하면 빛을 이용한 정보의 처리와 전달이 가능해진다. 개발의 방향은 금속 또는
반도체
나노입자를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 기지에 분산시킨 나노복합박막재료로 자리가 잡혀가고 있다.
반도체
나노입자를 유전체 기지에 분산시키는 경우 비선형 광학특성은 좋으나 응답시간이 나노초(ns, 1ns=${10}^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대한 상보짝은 'TTGCTAG···CCGA'가 된다규소(실리콘)는
반도체
에 사용되는 주재료다
반도체
는 컴퓨터의 핵심 부품 중 하나다 in silico biology는 앞으로 생물학의 주된 연구들이 컴퓨터 안에서 이뤄질 것을 상징하는 용어다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다 아미노산끼리는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돼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V)를 기준으로 +와 -전압 양쪽에 신호가 있는 것으로 쌍극성 또는 양극성이라고도 한다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그 구성 소자인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의 작용에 의해 전자 또는 정공의 2종류의 캐리어를 필요로 하는 것을 바이폴라형 집적회로라 하며, 이것을 줄여서 바이폴라라고 한다 또 데이터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래가 달려 있다. 짧은 수명과 대면적화의 한계 등 유기EL의 몇가지 단점을 극복한다면
반도체
와 TFT-LCD에서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기EL 분야에서도 우리나라가 경쟁국인 일본, 중국, 대만을 멀찌감치 따돌리고 세계 1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실시간 정보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같은 첨단기술을 다루는 과학에 달려있다는 자부심이 과학자에게 필요하다는 말이다.
반도체
나노소재 분야에서 새로운 물질을 발견한다면 우리나라는 국가적으로 한단계 성장하는 계기가 될 테니까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비롯한 일본, 대만이 세계 3대 경쟁 구도를 형성하면서 승부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
기술의 뒤를 이어 우리나라가 전세계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분야이자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인 셈이다.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는 차세대 정보디스플레이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CD나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라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충 박사는 지난 1월 3일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특정 메시지를 인공DNA 형태로 만들어 박테리아 게놈에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왕 박사는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