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정치적 선동의 도구가 돼버린 것도 놀라울 정도로 닮았다. 물론 15년의 세월이 만들어낸
차이
도 있다. 라디오의 시사 프로그램과 인터넷‧유튜브가 괴담 확산의 통로가 돼버렸다. ‘심층해류’와 ‘평형수’를 걱정해야 하고, 플루토늄이 ‘무거워서’ 바다 밑으로 가라앉고, 희석을 시켜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표지 장식한 IBS…고체가 구르는 궤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8.12
구불구불하게 굴러감을 확인했다. 일반적인 도형이 직선 경로를 따라가는 것과는 확연한
차이
가 있었다. 그리보스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결과가 다양한 모양의 로봇을 만드는 등 로봇 공학 분야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죽는 현상을 보고 항생제 페니실린을 발견한 과정과 비슷하다. 다만 둘은 결정적인
차이
가 있다. 페니실린은 희석하면 효과를 잃지만 트워트가 발견한 물질은 희석해도 효과가 여전했다. 따라서 트워트는 단순한 화합물, 분자가 아니라 ‘별도의 생물 형태’일 거라고 추측했지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발견 즉시 치료하면 95% 이상이 5년간 생존할 수 있다. 조기위암과 다른 위암은 예후에 큰
차이
가 있으므로 조기위암을 찾아낼 수 있는 조기진단이 중요하다. 위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치료불가능한 위암을 치료가능한 위암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나 1990년대가 되자 상황이 달라지기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약물의 효능만을 맹신하고 주의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약은 독이 되기 마련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약에서 투구꽃 덩이 뿌리는 ‘부자’라 불리는 약재로 사용되는데 독성이 강한 편이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지만 진통제 및 강심제가 되기도 한다. 이은성 작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벽돌이고 헤미셀룰로스와 리그닌은 벽돌을 고정하는 시멘트다. 그럼에도 둘은 큰
차이
가 있는데 리그닌은 붙이는 힘이 훨씬 강력할 뿐 아니라 방수 기능도 있다. 관속식물, 물과 영양분의 이동통로인 물관과 체관이 있는 식물은 많은 세포가 리그닌 시멘트로 두꺼운 2차벽을 만든 세포벽을 지니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1879~1955)은 동의하지 않았다. 화학반응 전후에 질량이 같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미미한
차이
를 잴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화학반응시 열을 발산시키거나 흡수하는 반응은 에너지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에너지는 질량 곱하기 광속의 제곱’(E=mc2)이니 질량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네트워크가 교란될 것이다. 진짜 당분 섭취량과 단맛수용체가 알려주는 당분 섭취량의
차이
가 벌어지면 이 오차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감미료가 단기적으로는 체중감소와 당뇨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간 과용하면 비만과 당뇨를 오히려 유발할 수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없고, 반란군은 이미 그 지역에 유행하고 있던 황열에 노출된 적이 있었을 테니 면역력에
차이
가 있었던 것이 큰 이유다. 마찬가지로 신대륙 정벌 과정에서 과거에 유럽에서 유행한 병이 인디언들에게 유행하는 경우 정복자들은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만 면역력을 키우지 못한 인디언들은 훨씬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케임브리지대 의학연구위원회(MRC)의 연구자들이 리치의 발표를 듣고 자신들의 모델과
차이
가 있다고 지적했다. 깜짝 놀란 리치는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알아본 결과 MRC 그룹도 tRNA 구조 실험을 마무리하고 논문을 쓰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결국 리치는 김 박사에게 연락해 듀크팀의 모델로 빨리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