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물속에서 소리는 육지보다 약 5배 빨리 이동하기 때문에 소리가 도착하는 시간의 미세한
차이
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고기는 물속에서 이를 해낸다. 연구팀은 온몸이 투명한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을 이용해 물고기가 물속에서 어떻게 소리의 방향을 알아차리는지를 연구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내몰려 버린 것이다. 의사들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의사 증원과 변호사 증원의
차이
도 구분하지 못하는 정부가 국민의 생명을 지켜주는 의사를 자신의 이익만 챙기겠다는 '악마'로 전락시켜 버렸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 과학자의 사회적 위상이 추락하기 시작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차이
가 비만과 당뇨병 발병에
차이
를 가져온 것이다. 피마 인디언들에게 질병 양상에
차이
가 있는 것은 생활습관이 질병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파머 인디언의 터전. 위키미디어 제공 ● 생활습관의학(라이프스타일 의학)의 대두 유사 이래 20세기 전반까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사실을 알아차리는 데에서는 혈압에 따른
차이
가 없었지만 어떻게 느끼는지에 있어
차이
가 나타났다. 혈압이 높은 편인 참가자들이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기분이 덜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의 나이와 체질량지수, 스트레스, 공격성, 부정적 정서성과 상관없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작물 벼는 야생 벼보다 건조할 때 잎이 더 잘 말리는데 여기에는 기동세포 생김새의
차이
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세포 한쪽 표면에는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구조가 있는데 평균 개수는 작물 벼가 더 많지만 일정하지는 않다. 기동세포의 비늘 개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평가했을 때는 흑백으로만 공부한 G2G가 가장 높았고 C2G와 G2C(신생아)가 뒤를 이었지만
차이
는 적었다. 그런데 C2C(청소년)는 점수가 뚝 떨어졌다. 결국 신생아의 눈이 처음부터 완벽하지 않고 부실한 상태에서 서서히 완성되는 것은 시지각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한 진화의 결과인 셈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가격은 배럴당 80달러라는 사실도 무시했고 천연가스와 석유의 가격에도 상당한
차이
가 있다는 사실도 외면해 버렸다. 산업부 장관의 평가는 지나치게 부풀린 것이 분명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동해 석유·천연가스 자원의 가치는 산업부 장관이 평가한 것의 10분의 1까지 줄어들 수 있다. 정부가 밝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전해주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었다. 시간 차는 불과 150msec에 불과했고 이
차이
는 수술 진행에 전혀 장애가 되지 않았다. 54분간 시도된 최초의 원격수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2003년에는 캐나다 해밀턴에서 일하던 의사 안바리(Mehran Anvari)가 로봇의 도움을 받아 약 400km 떨어진 노스베이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점을 발견했다. 계통이 갈라진 서로 다른 청동뻐꾸기 간의 가장 두드러진 외형적
차이
는 성체의 깃털과 울음소리였다. 이는 숙주 새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계통과 이기기 힘든 계통을 식별하고 이길 확률이 높은 계통끼리 짝을 이뤄 자손을 번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이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나타났다. 그런데 문제는 SBS12을 일으키는 원인을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극단적인
차이
는 유전적 요인이나 임의의 돌연변이로는 설명할 수 없으므로 분명 일본 고유의 환경 요인이 있을 텐데 아직 찾지 못했다.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인접 국가의 신장암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