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유일
다만
스페셜
"
오직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그래서 예컨대 가난할수록 더더욱 가난이 구조적 문제라는 사실을 인정하기 싫어하고
오직
‘나만’ 정신차리면 잘 될거라고, 내가 더 열심히 하면 된다고 생각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아니면 반대로 '이게 다 XX때문'이라고 하는 등 비난의 대상을 특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지 않고 문제의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넘쳐났다. 신경 마비와 괴상한 행동, 경련, 실신 등을 동반하는 정신장애다. 당시에는
오직
여성만 이 병을 앓는다고 생각했다. 히스테리의 어원 자체가 ‘자궁’이다. 히포크라테스는 자궁이 몸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장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자궁이 어쩌다가 가슴으로 이동하면 히스테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유전자를 넣어준 암탉(Z*W)과 일반 수탉(ZZ) 사이에서 얻은 달걀에 빛을 쪼여주면
오직
수컷 달걀(ZZ*)만 노란색 형광을 내기 때문에 쉽게 감별할 수 있다. eggXYt 유튜브 캡처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적혈구를 가진 환자의 15%는 말라리아를 앓고 있었지만 겸상 적혈구를 가진 환자는
오직
9%만 병을 앓고 있었다. 몇몇 학자들이 이런 이상한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옥스퍼드에서 생화학과 유전학을 연구한 영국 의사 앤서니 앨리슨은 1954년 아주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앨리슨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
2019.06.22
않지만 한 명이 나서서 같이 일하자고 했을 때에는 위와 같은 공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오직
한 명에게만 받아들여져도 두 명, 세 명 더 많은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낮은’ 공격성이 나타났다. 여러사람일 필요는 없다. 단 한 사람이라도 나를 받아들여 주는 사람이 ... ...
수의사1人당 실험동물수 선진국 10배…"학대는 한국 연구환경의 예견된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3분의 1 이상은 동물실험시행기관과 이해관계가 없는 사람이 참여한다. 별도 수당도 없이
오직
동물 보호와 윤리적 연구에 도움을 주려는 사명감으로 참여한다. 하지만 과학자들로부터는 ‘실험을 지연시키고 대단한 권한을 부리는 사람’으로 매도당하고 시민단체로부터는 ‘실험계획서를 쉽게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그런 영웅신화에 가장 쉽게 넘어가는 직업군이다. 왜냐하면 과학이라는 학문의 체계가,
오직
승리하는 단 하나의 이론에 의해 모든 분야가 지배되는 구조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과학 교과서는 영웅신화 그 자체다. 왜냐하면 거기엔 이미 옳은 것으로 증명된 이론과 결과만이 실리고, 잠시 과학자들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건 당시 부모님의 기대때문이었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올라가면서부터 이 세상은
오직
1등만 살아남을 수 있으며 2등은 벌써 한참 뒤쳐진 거라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게 들었다. 오랫동안 1등을 향한 열망은 나의 열망이며 1등을 못하면 어떡하지 하는 불안감 역시 나의 불안인 줄 알았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및 슬픔, 화, 두려움 같은 부정적 정서와 어떤 관련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오직
조화로운 열정만 긍정적 정서의 증가와 관련을 보인 반면 강박적 열정은 늘어난 부정적 정서와 관련을 보였다. 강박적 열정을 갖는 경우 삶이 행복해지기는 커녕 잘하려고 지나치게 애쓰며 고생하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않고 다른 조직에만 존재하는 ‘후각’수용체도 있다. 예를 들어 후각수용체 OR4N4는
오직
정자에서만 발현된다(그것도 꽤 많이). 따라서 이제는 후각수용체(olfactory receptor)라는 용어 대신 ‘화학수용체(chemoreceptor)’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적절하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후각과 미각처럼 분자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