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오직"(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2021.06.03
- 않았다. 이미 여러 매체를 통해 널리 알려진 이들이지만 정치적 이념에 편승하지 않고 오직 과학적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 그들 또한 과학지식인이라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 전문가와의 대화’를 이끌고 있는 김인중 박사, 예방의학 전문의 정재훈 교수, 보건경제학자 김현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2021.05.23
- 마음을 비우는 것이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실체로서의 내가 겪는 것은 오직 현재이므로 현재를 싫어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불행의 지름길이다. 나와 타인의 노력을 과소평가하지 말 것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로써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는 에너지 소모를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2021.05.13
- 한 직선과 직선 밖의 한 점이 있을 때, 그 점을 지나면서 원래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오직 하나 존재한다는 공준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평평한 평면에서는 직관적으로 아주 당연해 보인다. 그러나 공 표면과 같은 2차원에서는 그렇지 않다. 지구본에서 경도선을 하나 생각해 보자. 적도상에서 그 ... ...
- 우주에서 1년 숙성된 와인, 경매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5.05
- 페트뤼스 2000의 가격이 100만 달러(약 11억 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크리스티는 오직 한 병만 판매할 예정이고 판매금액은 스페이스카고언리미티드의 연구 자금으로 쓰일 예정이다. 스페이스카고언리미티드는 남은 와인을 연구소에 보내 우주 환경의 어떤 요소가 와인의 향, 맛, 침전물, 기포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2021.04.29
- 자신에게 다가올 뿐이다. 반면 땅에 가만히 있는 사람에게는 관성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오직 중력만 작용할 뿐이어서 자유낙하하는 사람은 매초 초속 9.8m씩 속도가 커지면서 지면으로 돌진한다. 자유낙하의 한 특이한 경우가 지구궤도를 도는 위성이다. 달이든 인공위성이든 우주정거장이든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특수상대성 이론이 등장하기까지2021.03.18
- 두 좌표계는 어느 쪽이 움직이고 어느 쪽이 정지해 있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오직 상대적인 운동만 의미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이 두 좌표계에 적용되는 물리법칙이 다를 것이라고 상상하기 어렵다. 문제는 이 평범해 보이는 요구조건이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앞서 소개했던 ...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2021.03.07
- 어리석음이 더 유리한 형질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우주와 인간의 어리석음, 오직 이 두 가지만이 무한하다. 하지만 우주가 무한한지는 확신하지 못하겠다.” 《휴먼 네크워크》를 쓴 매슈 잭슨 교수는 천재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명언을 들어 집단 지성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특별해야 사랑받을까2021.03.06
- 사람 사이의 친밀감에서 오는 만족감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고, 사랑받기 위해서는 오직 뛰어나고 특별한 사람이 되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듯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예컨대 나 역시 소중한 이들에게 나의 멋있는 모습만 보이려 애쓰고 멍청한 모습을 보이기라도 하면 사람들이 나에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2021.02.04
-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자연선택이 얼마나 강력하게 진화를 추동하는가, 자연선택이 오직 유일한 진화의 메커니즘인가, 자연선택의 단위는 무엇인가, 진화의 속도는 어느 정도인가, 진화는 진보인가, 등등의 문제는 현대적 종합 이후로도 계속 논쟁이 이어진 주제였다. 예컨대 자연선택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능력에 의한 평가는 과연 공정한가2021.01.14
- 당연한 상식이 이념이 될 때, 사회는 비참해질 수 있다. 특히 심각한 서열화를 통해 오직 능력주의를 평가의 척도로 떠받드는 과학계야말로, 마이클 영의 경고를 주의 깊게 경청할 필요가 있다. 과학자사회가 공정하다고 여기는 능력주의는 과연 과학생태계의 정의를 보장하는가. 나는 그렇지 않다고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