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스페셜
"
성공
"(으)로 총 2,52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과학자들은 108만 염기 크기인 게놈을 합성해, 게놈을 뺀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살리는 데
성공
했다. 박테리아가 증식한 콜로니(군집)의 모습이다(오른쪽은 현미경 이미지). 당시 언론매체는 인공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대서특필했지만 사실 게놈만 만든 것이다. 사이언스 제공 물리학자 리처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우리의 국제협력을 한인 과학자와의 교류에만 한정할 이유가 없다. 다른 나라에서
성공
적으로 활약하고 있는 한인 과학자에게 굳이 ‘조국’과의 인연을 강조할 이유는 없다. 우리의 무리한 국제협력 요구가 한인 과학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사실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국제협력에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연구를 시작하여 2년 후 인체에 해가 없는 조영제인 요드나트륨을 동맥 내에 주입하는 데
성공
했다. 이듬해에는 최초로 뇌혈관 조영 X선 사진을 촬영하면서 뇌에 생긴 혈관질환 진단법을 개발했고, 뇌의 특정 부위의 이상과 증상의 관계를 연구하는 등 이미 훌륭한 업적을 쌓아가고 있었다. 모니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모드 잠금 레이저(MLL)의 크기를 미니어처 칩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크기로 개발하는 데
성공
, 연구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에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MLL은 강력한 극초단파 빛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다. 극초단파 빛을 통해 이전에는 들여다볼 수 없었던 펨토초(1000조분의 1초), 아토초(100경분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는 1827년에 자신이 개발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최초로 선천성 구개열을 수술하는데
성공
했다. 1845년에 디펜바흐(Dieffenbach)는 코재건술에 대한 새로운 책을 쓰면서 재건수술을 한 코를 한 번 더 수술하여 미용상 좋게 만드는 방법을 기술함으로써 미용을 위해 성형수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 ...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단계의 뇌와 박동하는 심장 등 초기 배아와 95% 일치하는 인공 생쥐배아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
했다. 같은 달 27일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서 연구팀은 "이렇게 배양된 인공 배아는 자연 배아의 14일에 해당하는 발달 단계를 약간 넘어서는 단계까지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괴츠 교수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개발하라는 과학자에게 주어진 지상명령이었다. 그리고 우리는 세계가 놀라는 수준으로
성공
했다. ‘한강의 기적’과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 그 결과다. 이웃 일본이 노벨상을 연이어 수상하기 시작하면서 우리의 사정이 달라졌다. ‘축구’를 잘해야 한다는 명령을 성실하게 따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전세계가 힘을 합쳐 노력한 결과 1년만에 백신을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 그 이전에 가장 빨리 개발한 백신이 힐만(Maurice Hilleman)이 개발한 유행성이하선염 백신으로 4년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빠른 기간이었다. 이렇게 전보다 짧은 시간에 백신 개발이 가능했던 것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서툴렀던 오펜하이머가 수많은 실험물리학자와 공학자들을 지휘하며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
으로 이끌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반수소를 만들고 물리 특성을 연구하는 알파 실험에는 현재 7개국 1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만일 오펜하이머가 반수소 프로젝트를 맡았더라도 거뜬히 해내지 않았을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들어있는 물질을 분리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찾아내는데
성공
했다. 열심히 일을 하기는 했지만 의학발전에 도움이 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지는 못한 왁스만도 195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그 후로 수많은 약이 감염병 치료제로 개발되었고 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