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스페셜
"
성공
"(으)로 총 2,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과기부, 2024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지정 착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 한국원자력의학원은 26일 핵의학 진단기술 전수와 몽골 첫 양전자단층촬영 암 진단
성공
등 몽골 방사선의학 분야 발전과 협력에 기여한 공로로 몽골 보건부 최고 의학 훈장과 원자력청 표창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해외기관이 몽골 원자력청 표창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의학원은 24일 몽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바 있다. 그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왕이 클로로포름 냄새를 맡게 함으로써 무통분만에
성공
했다. 클로로포롬의 효과에 만족한 빅토리아 여왕은 아홉 번째 자녀인 베아트리스 공주를 낳을 때에도 이를 사용함으로써 마취법을 이용한 무통분만이 유행하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1840년대에 효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끝내
성공
하지 못한 장 박사가 이번 논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넘쳐나는 '특별호'(special issue)도 MDPI의 상업적
성공
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MDPI는 2013년 388편의 특별호를 발간했다. 학술지당 평균 5편의 특별호를 발간한 것이었다. 2021년에는 그 수가 거의 4편 종으로 늘어나서 학술지당 500편의 특별호를 발간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Joseph Lister)가 수술실을 소독하는 방법으로 수술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인 것은 수술
성공
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위대한 발견이었다. 19세기에 마취제와 무균처리법이 발견되어 수술법을 획기적으로 발견하고 현대의 첨단 수술법이 발전하기까지 수술법은 수천년간 서서히 발전해 왔다. 그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선호하는 양상과 이같은 행동의 기반이 되는 유전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최근
성공
했다. 연구 결과는 2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날개 색깔의 선호도 차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서식지가 겹치는 헬리코니우스 속 나비들을 ... ...
[과기원NOW] 포스텍, 전고체 전지 성능·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하면 전착'이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전고체 전지의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
성공
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능성 바인더(PVA-g-PAA2) 기반 전고체 전지용 음극 보호층을 만들었다. 이 층은 리튬을 전달하는 특성이 우수해 무분별한 전착을 막고 음극 표면 하단부터 리튬이 균일하게 전착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있다. 연구팀은 "향후 수십 년 동안 기후변화 완화 노력을 통해 기온을 안정시키는 데
성공
하더라도 과거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은 계속 상승할 것"이라며 "해안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홍수 방어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다양한 삶은 영위하면서 인생을 보냈다. 런던거리의 리스터 동상. 예병일 제공 ● 수술
성공
률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개발한 리스터 1840년대에 마취제가 발견되면서 수술이 한결 쉬워졌지만 수술로 생긴 상처가 곪은 후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제멜바이스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뿐이다. 이제는 과학기술의 핵심 분야인 의료계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 무너지고 있다.
성공
한 과학기술 대통령의 길이 자꾸만 멀어지고 있다는 뜻일 수도 있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