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27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박막 중심부보다 내부 표면에서 약 1만 배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
했다”며 “기본 원리를 확인한 만큼 이 현상을 이용하면 앞으로 더 우수한 연료전지를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앙케반테 케미’ 지난달 28일자에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알려졌고, 포유동물에서도 RAD5를 제외하고 모두
발견
됐었다. 그는 “포유동물에서
발견
한 RAD5는 굉장히 많은 그룹에서 연구하고 있다”며 “이는 DNA 복구에 중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또 명 단장은 DNA 복제를 도와주는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을 DNA로부터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루빈은 은하 바깥쪽의 별들도 은하 중심 근처의 별과 비슷한 속도록 공전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는 기존의 중력 이론으로는 말이 되지 않는 현상이었다. 중력 이론에 오류가 있는지 따져보았지만 오류 따위는 없었다. 결국 이를 설명하려면 아직 관측하지 못한 무언가가 은하 바깥쪽에 질량을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뼈를 평평하고 길쭉하게 깎아 잘 미끄러지게 만든 스키 형태의 신발도 세계 곳곳에서
발견
되고 있다. 스키의 어원은 눈이 많이 내리고 지형이 험해 경사가 심한 북유럽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발 밑에 묶어 눈 쌓인 경사지를 미끄러져 내려가는 널빤지 모양의 플레이트 장비가 노르웨이에서는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과학자들은 달 때문에 생기는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지구의 자전 속도가 변한다는 것을
발견
했다. 그 차이는 100년에 24시간의 0.0015에서 0.002 정도이며, 시간으로 계산하면 약 0.9초이다. 그리고 이 차이는 세월이 지나며 점점 더 커지게 되므로 원자시간과 천문시간이 약간씩 차이가 나게 된다. 이와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의미다. 추류모프-게라시멘코는 1969년 구소련의
발견
자들 이름이다. 인류가 그 주기를
발견
한 최초의 혜성인 핼리혜성은 1P/핼리로 명명돼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주기다. 핼리 혜성이 76년의 주기를 혜성 67P는 6.45년의 주기(태양의 둘레를 한번 도는 시간)를 가지고 있다. 200년 이하의 주기를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
KOITA
l
2015.01.26
않는다. 그는 자신이 성공한 비결에 대해 ‘인터넷 세상에 모든 것이 있다는 걸
발견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인터넷으로 논문을 읽고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었던 것처럼 누구나 인터넷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이라는 도구보다 더 중요한 건 불가능에 도전한 낙관이다. 4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
KOITA
l
2015.01.20
“저의 우상인 에디슨은 ‘나는 실패하지 않았다. 단지 작동하지 않는 1만 가지 방법을
발견
했을 뿐’이라고 말했죠. 새 기술을 개발할 때 우리는 무엇이 제대로 작동하고 그렇지 않은지 체계적이고 끈기 있게 도전합니다.” ● 발명가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열린 마음’ 그는 생활 속에서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의 논문이 실렸다. 세포 안에 있는 전령RNA의 분해과정에 숨겨져 있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
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연구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지난해 3월 발표했던 '꼬리서열분석법(TAIL-seq)'을 이용해 얻은 결과라는 점에서 더 의미가 깊다. 꼬리서열분석법 역시 RNA연구단에서 자체적으로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도 교신 두절 지점에서 100∼200㎞ 떨어진 곳에서 잔해를
발견
했다. 이런 일은 실제로 자주 일어난다. 한 공군 관계자는 “과거에 지상으로 전투기가 추락해 현장수습을 해 봤는데 뻔히 레이더에 추락 위치가 나와 있는데도 인근을 샅샅이 뒤져 하루 걸려 겨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