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가 적은 사람과 친해지려는 이유
2024.04.20
것이다. 비슷하게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의 연인들이 생각보다 관계 만족도가 낮다는
발견
도 있었다. 만인의 연인인 사람은 나만의 연인이 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쏟을 수 있는 시간이나 정성의 양은 제한적이어서 표면적인 친구 관계 말고 서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메커니즘을 제안한 과학자가 바로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김성호 교수다. 1982년
발견
된 발암유전자 라스는 돌연변이로 늘 스위치가 켜진 상태다(오른쪽). 반면 정상 라스 단백질은 평소 스위치가 꺼진 상태(왼쪽)이고 세포밖에서 성장·증식 신호가 왔을 때만 켜지고 바로 다시 꺼진다. 라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타일러 콜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그간 식물에게서
발견
됐던 생존 유지 기능인 '질소고정'을 해양 조류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11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질소고정은 대기 중의 질소를 생물체가 생리적, 화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기에 직면한 곤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사이에 독일 보호 지역에서 날아다니는 곤충의 '바이오매스'가 약 75% 감소했다는 것을
발견
했다"는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여기서 바이오매스는 생물의 총 덩어리를 의미한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연구팀은 지난해 9월 27년간의 곤충 바이오매스 데이터를 분석해 기상 이상 현상이 온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존 거쉬 미국 시각예술가가 호미닌 '루시'를 실물 크기의 형상으로 만들었다. 사이언스 제공 오늘날 많은 인류학자는 인류의 최초 발원지로 아프 ... 인류의 기원에서 루시가 미친 영향에 대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루시를
발견
한 조핸슨 소장을 비롯한 전 세계 유명 인류학자가 참석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됐다. 예를 들어 같은 종류의 박테리아 균주에게서 특정한 단백질과 결합하는 패턴이
발견
됐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면역 조절 체계를 비롯해 다양한 체내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선 다양한 상호작용 특성을 가진 균주가 세포와 어떻게 서로 작요하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만든 독소가 병아리를 죽인 것이다. 대표적인 곰팡이독소인 아플라톡신(aflatoxin)이
발견
된 과정이다. 곰팡이독소는 곰팡이에 오염된 음식이나 오염된 사료를 먹은 가축을 통해 인체에 들어와 해를 끼친다. 대표적인 곰팡이독소인 아플라톡신B1을 만드는 곰팡이와 오염 경로, 증상을 보여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혈관에 손상이 생겨도 손상부위가 총알의 열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경우가 흔히
발견
된 것이 그 이유로 생각된다. 그런데 뜨거운 기름을 부으면 통증이 심하고 불로 상처부위를 지지는 경우에도 통증은 물론 흉터가 수반되므로 치료를 포기하겠다는 이들도 있었다. 따라서 끓인 기름 대신 끓인 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팀원들과 관계가 돈독해졌다던가, 혹은 사람을 대하는 법을 배우거나 존경할만한 멘토를
발견
하거나 나의 성취가 누군가에게 큰 도움이 되는 등의 사회적 경험이 더해지면 더더욱 뜻 깊은 경험으로 남게 되는 것 같다. 반대로 큰 성취를 했지만 그 과정에서 외톨이가 되거나 가족, 친구들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붉은색 날개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한 붉은 날개를 가진 상대를
발견
했을 때 동일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선호하는 사이드노는 구애 행동을 할 때 이 나비들과 달리 '레구칼신1(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연구팀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