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양
도안
모양
도형
본
의장
반점
스페셜
"
무늬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축적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었지만 일부 사진자료는 새로 준비해야 했다. 사진의 그물
무늬
무륵도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집필진들이 직접 새로 촬영한 것이다. 이번 발간사업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가요? 유옥환(생물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사실 부산과 제주도의 해양생태에 대해서는 기존에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인상적인 사진을 발견했다. 아기를 안은 채 앉아있는 흑인여성들의 모습이었는데,
무늬
가 화려한 옷을 입은 여성도 있고 금팔찌를 두른 여성도 있었지만 표정은 다들 지쳐보였다. 곤히 잠들어있는 아기들도 왠지 안쓰러워보였다. 사진 오른쪽 위의 설명을 보니 탄자니아 엄마들이 아기들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감각요소가 있는 위치를 지날 때마다 내후각 피질의 특정 세포들이 6각형의 격자
무늬
로 정렬해서 좌표의 기준점 역할을 했다. 이들 격자세포는 장소세포와 연계해 위치를 파악하고 결정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키프 교수는 수상 비결로 '연구자 개인의 창의성'과 '조직 차원의 ... ...
운동을 많이 해도 문제? 근육이 녹는 횡문근융해증
KISTI
l
2014.05.21
병명은 ‘횡문근융해증’이다. 횡문근은 팔이나 다리 등 움직이는 부위에 붙어 있는 가로
무늬
근육이다. 오랜 시간 고강도 운동을 하다보면 에너지 소모량이 커지면서 근육으로 공급돼야 할 에너지가 필요량보다 부족해진다. 에너지 부족 상황에도 근육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한다. 결국 근육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Y염색체 없어도 유전자 두 개면 충분? X염색체불활성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털의 얼룩
무늬
가 꼽힌다. X염색체상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변이로 나오는 삼색털얼룩고양이로, 암컷에게만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학술지 ‘사이언스’ 1월 3일자에는 다른 관점에서 Y염색체의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재규어를 보면 날렵한 표범에 비해 좀 둔탁하고 억세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머릿속에서
무늬
를 지워보니 거의 암사자 느낌이다. 실제 재규어는 호랑이, 사자 다음으로 큰 종이다. 퓨마에 대한 추측도 완전히 틀렸다. 퓨마와 사자는 계열 자체가 달라 둘은 1080만 년 전에 갈라진 종이다. 흥미로운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들고 싸움)에 대비하여 개발된 돌격 군함이다. 널리 알려진 것처럼 거북선의 등에는 거북
무늬
가 그려져 있고 그 위에는 날카로운 못과 같은 것들이 꽂혀져 있어 적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배의 좌우에서 화포를 쏘아대는 것은 물론 용머리를 한 배의 앞 부분에서는 연기까지 뿜어대고, ... ...
청소의 달인 예쁜이줄
무늬
꼬마새우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필요로 하는 맞춤형 청소서비스를 꼬마새우가 제공한다. 조금은 더딘 듯하지만, 예쁜이줄
무늬
꼬마새우에 물고기 고객들의 만족도는 무척이나 높은 것 같다. 청소구역 안 고객의 청소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을 경우, 다른 고객들이 청소구역 밖에서 한 줄로 서서 기다린다고 하니 말이다. ※ 위의 ... ...
레이저 잡음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영상처리에서 제거해야 할 잡음으로만 간주되어 온 간섭
무늬
에 담긴 정보를 수집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데 이용한 것이다. 형광현미경으로 물체를 관찰하기 위해 기존에는 형광물질이 점멸하도록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물체 대신 조명이 어두워졌다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때 위치가 기록돼 있다. 209개일 때까지만 해도 무작위로 보이지만 1004개의 경우는 뭔가 줄
무늬
패턴이 보이는 것 같고 6235개가 되자 간섭 패턴이 뚜렷이 드러난다. 마지막 데이터를 얻는데 약 2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이번 실험의 의의는 직업 물리학자들보다는 오히려 일반인들에게 양자역학 세계의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