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양
도안
모양
도형
본
의장
반점
스페셜
"
무늬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분석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생존하는 비둘기 중에 여행비둘기와 가장 가까운 친척인 띠
무늬
꼬리비둘기(Band-tailed Pigeon) 유전 정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여행비둘기의 유전적인 다양성이 낮은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분석 결과로 지난 2만 년 동안 여행비둘기의 개체수가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투과시키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원자에 의해 X선이 회절되면서
무늬
가 만들어집니다. 이
무늬
를 분석해 원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역산을 하면 단백질의 구조를 추측할 수 있게 됩니다. 문제는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어려운지 단백질 결정과 관련된 노벨상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
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이론을 활용해 개발한 밀린코비치 교수의 방정식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아래). 두
무늬
는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Nature 제공 연구팀을 이끈 밀린코비치 교수는 “쥬얼드 라세타는 세포자동자 개념이 살아 움직이는 최초의 사례”라며 “이 연구를 통해 폰 노이만의 세포자동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팔라우 바닷가에서 수중탐사를 하던 19살 청년은 수심 75m 부근에서 난생 처음보는 빨간 줄
무늬
가 있는 핑크색 작은 물고기를 발견합니다. 그는 ‘최초 발견’이라는 확신에 차 무리해서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수면 위로 오르는 길 수심 55m를 지날 무렵 그는 숨을 쉴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안에 가운데 원 안에 놓으면 설탕물을 먹을 수 있게 훈련했다. 처음에는 가짜 벌(끝에 벌
무늬
를 그린 이쑤시개처럼 생긴 막대)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보여줬다. 이렇게 48시간 동안 학습을 마친 아홉 마리를 대상으로 실전에 들어갔다. 그 결과 아홉 마리 모두 성공했고 횟수가 늘어날수록 공을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15
파동성에 의해 생기는 현상으로 파동이 겹쳐 어둡거나 밝은
무늬
가 생긴다)가 생긴다. 이
무늬
를 수학적으로 거꾸로 추적해 분자의 모형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X선 회절 결정구조 분석법은 그동안 수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대표적인 예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일이다. 다만 이 X선 회절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기린의 학명을 부여한 이래 지금까지 기린은 한 종으로 알려져 있었다. 다만 서식지나 줄
무늬
패턴의 차이에 따라 9가지 아종으로 분류해왔다. 그런데 게놈 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구성하자 완전히 새로운 그림이 그려졌다. 새로운 종 분류에 따르면 린네가 학명을 정할 때 참조한 아종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보고됐다. 원래 얼룩나방(peppered moth)은 이름처럼 밝은 색 바탕에 후추를 뿌린 듯 짙은 색
무늬
가 흩뿌려진 날개 패턴이 나무 기둥이나 줄기를 덮은 지의류와 비슷하다. 그 뒤 영국 전역에서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검은색 얼룩나방의 개체수가 점점 늘어가 마침내 원래 얼룩나방보다 많아지기에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눌렀다는 내용과 함께 그 작동원리를 소개한 논문이 같은 호에 실렸다. 알파고의 상대가
무늬
만 프로인 유럽챔피언 판후이 2단이었기 때문에 디지털 직관이란 표현이 화려한 수사라고만 여겼다. 그러나 두 달 뒤 벌어진 이세돌 9단과의 5번기를 지켜보면서 알파고의 직관에 대한 생각은 경외심으로 ... ...
그린십 기술로 환경과 경제 모두 살린다
2016.02.29
1척씩, 총 2척을 인도할 예정이다.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는 1988년 미국 오대호의 얼룩줄
무늬
담치 사건 이후 세간의 관심을 받아온 대표적인 해양생태계 교란 원인 중 하나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중공업은 2011년 자외선 살균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인 에코밸러스트(Eco-Ballast)와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