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마음"(으)로 총 9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2023.08.22
- 그리스에서는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병을 낫게 해 달라고 기도를 할 때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공기 좋은 곳을 찾곤 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BC 460?~377?)도 공기, 물, 음식과 음료수의 중요성을 기술해 놓았다. 로마인들은 오늘날까지 멋진 모습으로 남아 있는 수로를 통해 ...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2023.07.28
- 이후로 급격하게 감소한다. 비유하자면 결정시기 전에는 마치 자동차가 원하는 길을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 시기 이후에는 일부 길은 통행이 불가능한 커다란 벽에 막혀 갈 수 없게 되어 통행이 가능한 길로만 다닐 수 있게되는 것과 같다. 굴 돌렌 교수 연구팀은 사이키델릭 약물이 PTSD나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2023.07.25
- 만능도 아니다. 올바른 과학적 태도는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하여 항상 열린 마음과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으로써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1. Philip Stokes. 100 Great Philosophers Who Changed the World. Arcturus. 2021 2. 에브 퀴리. 아름답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2023.07.22
- 제 3자를 향해 언어적, 물리적 폭력을 쉽게 휘두르는 현상이 나타난다. 어떤 상대에게 온 마음을 이입할수록 그 사람을 위해서라면 타인을 해치는 비도덕적인 행동도 불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 같은 존재가 자신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있으며 자신과는 상관없는 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2023.07.18
- ‘수소수’도 소비자의 이성을 마비시킨 엉터리 가짜 과학이었다. 심지어 물이 사람의 마음을 읽어내고, 좋은 말과 나쁜 말을 구별하고, 놀라운 기억력을 가지고 있다는 가짜 과학도 등장했다. 순진한 어린아이를 호수로 데려가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노래하는 눈물겨운 모습을 연출하기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2023.07.15
- 통증과 나의 감정적 반응(짜증, 화, 두려움)은 별개이며 신체적인 고통이 반드시 마음의 고통이 될 필요는 없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느끼는 통증이 곧 나인 것은 아니라는 말처럼 감각까지 통제하지는 못하더라도 감각에 대한 나의 반응은 내게도 어느 정도 선택권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2023.07.08
- 종합해보면 그 기저에는 희생만 요구하고 제대로 된 보상은 하지 않는 환경, 마음을 다해 열심히 할 수록 손해를 보고 혼자 바보가 되는 환경, 결국 공정성과 상호성에 대한 신뢰가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열심히 해도 돌아오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은 현 시대를 관통하는 정서인 듯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낯선 칭찬의 소중함2023.06.10
- 내가 사는 곳에서는 사람들이 지나가다가 “신발 참 이쁘네”, “네 셔츠가 참 마음에 든다” 같이 낯선 이에게도 칭찬을 툭툭 던지고 지나가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처음에는 뭐지 싶었지만 점점 익숙해져서 진심으로 기뻐하며 고맙다고 이야기하는 나를 발견한다. 다들 자기 살기에도 바쁘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2023.06.03
- 비슷한 파도를 이겨냈음을 떠올려보자. 파도가 모든 것을 무너뜨리는 것 같을 때에도 내 마음이 그간 훈련했던 경험들은 지워지지 않음을 기억하자.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2023.05.31
- 페루츠 같은 학계의 거물들이 리치를 경멸하게 되면서 그가 포함될 업적에 노벨상을 줄 마음이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아무리 대단한 업적이라도 ‘뉴사이언티스트’처럼 많은 사람이 보는 잡지에 스캔들로 언급된데다 오보였다는 정정 기사도 없었기에, 세 사람이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순간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