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biology"(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상 최대 공룡 '티나토사우르' 배아 2㎝ 두개골 복원연합뉴스 l2020.08.28
- 알 화석 두개골 3D 복원 연구… 길쭉한 코 '뿔' 성체되면서 퇴화 [Kundrat et al. /Current Biolog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긴 목과 꼬리를 가진 대형 초식 공룡인 용각 ... 배아의 피부 조직까지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undrat et al. /Current Biolog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2020.08.27
- 221(1), 86-95. - Jungck, J. R. (1985). Margaret Oakley Dayhoff," Harnessing the Computer R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7(1), 9-10. - 데이호프가 아미노산 서열을 컴퓨터에 디지털화하기 위해 만든 목걸이 구슬 모델. The experimenter's museum: GenBank, natural history, and the moral economies of biomedicine. Isis, 102(1), 60-96. - 조은희. (2015).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2020.08.13
- 6 Dietrich, M. R. (1998). Paradox and persuasion: negotiating the place of molecular evolution within evolutionary biology.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85-111. 7 1953년 왓슨과 크릭의 이중나선 구조발견은, 이후 분자생물학이라는 학문의 탄생을 알리며 자연사 전통의 생물학자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https://www ... ...
- 신종 코로나 주 표적은 호흡계? 수용체 발현도 오히려 낮았다연합뉴스 l2020.08.06
- 스웨덴 웁살라대 과학자들은 5일(현지시간) 저널 '분자 시스템 생물학(Molecular Systems Biology)'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웁살라대 David Naylor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인간 단백질 지도(Human Protein Atlas)'를 토대로 면역조직화학 검사(Immunohistochemical analysis)를 진행해, 인체 내에 존재하는 150개 ... ...
- "난 먹어봤자 살아나와"…콩알물땡땡이 슈퍼 생존법연합뉴스 l2020.08.04
- 먹힌 뒤 항문을 통해 살아 나온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스기우라 박사는 논에서 흔히 발견되는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와 콩알물땡땡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실 내 관찰에서 이를 처음 확인했으며, 청개구리(Hyla japonica)를 비롯한 ... ...
- "네안데르탈인 통증 문턱 낮아"…일부 현대인에게도 유전연합뉴스 l2020.07.24
- 네안데르탈인의 통증 관련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연구소와 외신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척수와 뇌에 통각(痛覺)을 전달하는 기능과 관련된 네안데르탈인 유전자(SCN94)에서 현대인과 다른 변이를 찾아냈다. 이 유전자는 통증 ... ...
- "세포서 수분 빠지면 노폐물 제거 시스템 작동한다"연합뉴스 l2020.06.30
- FMP) 과학자들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29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 세포 생물학(Nature Cell Biology)'에 실렸다. 자가포식과 리소좀 용해가 노화와 신경퇴행 질환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건 많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됐다. 금식하면 세포 노폐물 제거 시스템이 작동하기 시작한다는 것에도 과학자들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디지털 시대의 과학출판혁명 2020.05.21
- Stern, B. M., & O’Shea, E. K. (2019). A proposal for the future of scientific publishing in the life sciences. PLoS biology, 17(2). -전통적인 과학출판 플랫폼은, 이미 불공정한 심사제도로 얼룩져 과학계를 더럽히고 있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5858 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 http://dongascience.donga.com/news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새로운 미래2020.05.07
- -Stern, B. M., & O’Shea, E. K. (2019). A proposal for the future of scientific publishing in the life sciences. PLoS biology, 17(2). -동아사이언스, [김우제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6218 -동아사이이언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http:/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2020.04.23
- 대한 글은 김우재의 《플라이룸》의 3장을 참고할 것. -Cobb, M. (2017). The prehistory of biology preprints: A forgotten experiment from the 1960s. PLoS biology, 15(11).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