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biology"(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강운의 곤충記]살려면 먹어야 한다… ‘물장군’의 동종포식2018.08.08
- . Recent observations of intraspecific predation and cannibalism among polar bears in the southern Beaufort Sea. Polar Biology, 29(11), 997. -Burgio, G., Santi, F., & Maini, S. (2002). On intra-guild predation and cannibalism in Harmonia axyridis (Pallas) and Adalia bipunctata L.(Coleoptera: Coccinellidae). Biological Control, 24(2), 110-116.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 ...
- 달콤살벌한 식충식물...누군가에겐 편안한 휴식처?!어린이과학동아 l2018.07.20
- 식충식물은 곤충을 잡아 영양분으로 삼는 벌레잡이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보기☞식충식물의 사냥법) 하지만 벌레를 잡아 먹는 사냥꾼의 역할만 하는 건 아닙 ... 피하세요! *출처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7.15발행) '[기획] 식충식물' *이미지 출처: Chien C. Lee, Biology ... ...
- [이강운의 곤충記] 더위 피해 알 속에서 여름잠 자는 붉은점모시나비2018.06.20
- Papilionidae) in Korean Peninsula.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154. -2014. K. W. Lee., and J. R, Lee. Biology and temperature effects on development on Parnassius bremeri Bremer (Lepidoptera: Papilionidae) cocoon.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Urban Biodiversity and Design. p.247. -2008. Yang, P., Tanaka, H., Kuwano, E., and Suzuki, K. A novel cytochrome P450 gene (CYP4G2 ...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동아사이언스 l2018.06.08
- 나눠 각 조직별 에너지를 쏟는 비중과 사회 환경적 요인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Biology, University of St Andrews, St Andrews 제공 연구팀은 이를 에너지 추출 효용성 모델(Energy-extraction dfficiencey, 이하 EEE)이라 명명했고, 환경 적응에 쓰는 에너지와 상호간 협력 또는 경쟁하는데 쓰는 에너지를 EEE 모델로 ...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2018.06.06
- in caterpillars(Amorpha juglandis, Bombycoidea): sound-producing mechanism and function.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14:30-37 -2016. 이강운. 캐터필러Ⅰ. 도서출판홀로세. p30-30 -2017. 이강운. 캐터필러Ⅱ. 도서출판홀로세. p24-24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 ... ...
- 몸이 ‘핫(HOT)’해지면, 입맛이 달아난다!동아사이언스 l2018.04.25
- 뉴런이 열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밝혀내 학술지 ‘플로스원 생물학(PLoS ONE biology)’ 24일(현지시각)에 발표했다. 온 몸에 뻗어있는 감각뉴런의 막에는 열을 감지하는 수용체 ‘TRPV1’이 있다. 뇌의 시상하부를 연구하던 조 교수팀은 시상하부에서 식욕을 감퇴시키는 ‘POMC 뉴런(Pro ... ...
-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과학동아 l2018.04.17
- 대항하는 항균 능력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구조생물학 커뮤니케이션(Structural Biology Communication)’ 1월 1일자에 발표했다. 슈퍼박테리아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는 강력한 박테리아다. Laura Romin & Larry Dalton 제공 젖꼭지가 없는 오리너구리는 새끼에게 배꼽 위에 있는 ... ...
- 전자담배는 무해?...드러나는 과학적 단서들동아사이언스 l2018.04.02
- VG) 등 과일 향료가 세포의 성장을 크게 저해함을 확인해 27일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발표했다. PG와 VG가 포함된 향을 주입했을 때(오른쪽) 살아있는세포(초록)보다 죽어있는세포(빨강)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확인됐다.-North California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액상 성분에 따른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생명, 급진적 격변 vs 점진적 변화? 2018.03.25
- 틀린 것이 많지만, 이는 사실 다윈도 마찬가지입니다. 라마르크는 화석(fossil)이나 생물학(biology)라는 용어를 사실상 만든 사람입니다. 터무니 없는 것으로 여겨진 그의 주장 중 일부는 훗날 재발견되죠. 그래서 프랑스에서 출판된 책에는 라마르크가 비중 있게 다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난자 생존력 키워 가임 기간 늘린다동아사이언스 l2018.02.23
- 난자의 생존력을 높이고, 가임기간을 연장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사진=GIB) 최근 결혼과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갈수록 난임·불임이 늘어나는 추세다. 미국 프 ... 연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위 연구 결과는 생물학 국제학술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3월 8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