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자공학"(으)로 총 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받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원하는대로 결합하는 단백질에 도전”동아사이언스 l2024.10.21
- 백민경 서울대 생명공학부 교수가 21일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강연하고 있다. hesse@donga.com 백민경 서울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 소식이 전해지고 가장 많은 연락을 받은 한국인 연구자다. 이번 노벨화학상을 거머쥔 인공지능(AI) 기반 단백질 예측 프로그 ...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④인간 장기 대체품 만든다…'아일랜드(2005)'동아사이언스 l2024.10.18
- 이식용 장기를 제공할 인력을 수용하는 시설을 그린 영화 의 한 장면. 유튜브 캡처 [편집자주] 공상과학소설(SF) 영화에 등장하는 놀라운 첨단 과학기술은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기술의 힘을 빌린 영화 속 주인공은 현실세계의 우리들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누리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2024.10.13
-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마인드 최고경영자, 존 M. 점퍼 구글마인드 수석연구원. 위키미디어 제공 올해의 노벨 화학상은 컴퓨터를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연구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노벨 화학상의 절반은 컴퓨터를 활용한 단백질 설계 연구를 개척한 데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2024.10.10
- 2024 노벨생리의학상 발표 현장. 연합뉴스 제공 ● 인체 내 세포들이 왜 모두 다른지를 설명할 수 있는 유전자 발현 조절 인체는 약 30조 개에 이르는 엄청나게 많은 수의 세포의 집합체이다. 피부 세포, 신경 세포, 면역 세포, 근육 세포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제각기 맡은 고유의 기능을 수 ... ...
- [과기원NOW] 포스텍, 소규모 대학 평가서 세계 2위 外동아사이언스 l2024.10.07
- 영국 더타임즈(THE)가 발표한 ‘2024 THE 소규모 세계대학평가’.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영국 더타임즈(THE)가 발표한 ‘2024 THE 소규모 세계대학평가’에서 2년 연속 세계 2위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소규모 세계대학평가는 학생 수 5000명 미만인 소규모 대학 대상으로 교육성과, 연구환경, 연구성 ... ...
- 생명연, 막스플랑크와 혈관질환 극복 실마리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4.10.02
- 한국과 독일이 혈관질환 극복을 위한 연구 협력에 나선다. angel_nt/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령화로 혈관질환 발생률이 높아지면서 한국과 독일 과학자들이 혈관질환 치료 전략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을 연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생의학연구소와 2일 생명연 대전 본원에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산 등반가들이 '비아그라'를 복용하는 이유2024.09.29
- 비아그라.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혈압을 측정한 선구자들 혈압은 혈관속에서 피가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을 가리킨다. 이 압력을 측정하려는 생각을 처음 한 사람은 영국의 헤일즈(Stephen Hales, 1677~1761)였다. 혈관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고 그 두 가지가 다르다는 점은 기원전 3-4세기에 알렉산드리 ... ...
- 장기간 우주비행, 심장 급속 노화시킨다동아사이언스 l2024.09.24
- 우주개발이 확대되며 우주 공간에서 장기간 생활하는 것이 인간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력이 거의 없는 우주 공간에서는 인간 심장 조직의 수축력이 떨어지고 부정맥 위험성이 높아지는 등 노화와 유사한 현상이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 ... ...
- 400년 사는 상어 DNA에서 찾은 장수 실마리동아사이언스 l2024.09.23
- 그린란드 상어는 400년을 생존하는 장수 동물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상어의 한 종인 ‘그린란드 상어’는 400년을 산다. 과학자들이 그린란드 상어의 DNA를 분석해 장수 비결의 단서를 찾았다. 그린란드 상어는 상어하면 떠오르는 날카로운 외형을 갖고 있지 않다. 시력은 거의 앞을 보기 어려울 ... ...
- DNA가닥 빛으로 구부리고 옮긴다…새 유전자 교정 기술 주목동아사이언스 l2024.09.11
- 빛을 활용해 DNA 가닥을 구부리고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빛을 이용해 DNA가닥을 구부리고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DNA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물리적으로 위치를 바꾸는 이 기술은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교정할 수 있다. 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