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자공학"(으)로 총 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6.28
- 미국-일본 연구팀이 DNA를 구성하는 염기를 잘라내지 않고 염기서열을 교정해 유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브리지 RNA(노란색)가 교정하려는 표적 DNA(청록색)와 교정할 내용이 담긴 DNA(보라색)를 동시에 결합시켜 통합적으로 유전자를 교정하는 방식이다. 비주얼 사이언스(Visual ...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의료 기술개발 본격화동아사이언스 l2024.06.25
- 허정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개발 사업단장. 생명연 제공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인공아체세포를 활용한 재생치료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14일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 개발 사업단'을 설치해 업무를 개시했다. 허정 ... ...
- [과기원NOW] 신경세포 연결의 숨은 지휘자, MDGA 단백질의 비밀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24
- 고재원 DGIST 뇌과학과 교수(오른쪽) 연구팀.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고재원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뇌 신경세포 연결 부위인 시냅스의 특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작동 원리를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21일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냅스에 ... ...
-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국내 연구진이 외·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뇌 기능이 성장 시기별로 형성되는 과정을 최초로 확인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아이들의 뇌에서 외적‧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뇌 기능이 성장 시기별로 형성되는 과정을 최초로 확인했다. 뇌 기능 발달 부진으로 인한 자폐, 조현병 등 ... ...
- 조기발견·치료 어려운 췌장암, 분자 수준 특성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4.06.0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췌장암의 특성을 분자 단위에서 규명했다. 암의 악성도를 높이는 암세포 유형과 종양 미세환경의 변화를 밝혔다. 새로운 췌장암 치료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서울병원은 이종균, 박주경 소화기내과 교수와 이세민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차세대 이차전지·유전자 치료제 등 5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4.06.0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차세대 이차전지, 수전해 수소 생산시스템, 유전자·세포치료,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상원자로 플랫폼, 초거대 계산반도체 분야에서 성과를 내기 위한 5개 사업단이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협력체계를 ... ...
- '농업 분야 슈바이처' 한상기 교수 등 과기유공자 4인 업적 헌정동아사이언스 l2024.05.27
- (왼쪽부터) 한상기 전 서울대 교수, 고 송희성 서울대 교수, 고 김성완 유타대 석좌교수, 고 김재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대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지난해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된 4인의 업적을 기리고 돌아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 ... ...
- 돼지 심장 이식 영장류 100일째 생존…국내 최장 기록동아사이언스 l2024.05.27
- 국내 연구진이 진행한 심장 이종 이식술을 받은 영장류가 100일째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aremenk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돼지 심장을 이식받은 영장류가 100일째 생존하며 국내 최장 생존 기록을 세웠다. 생명공학기업 옵티팜은 이종 이식 국책사업을 통해 기존 생존 기록을 갱신했다고 ... ...
- '담배 표준유전체' 구축...식물 백신 연구 활성화되나동아사이언스 l2024.05.22
- 담배류 식물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진. 왼쪽부터 교신저자 권석윤 부원장, 연구책임자 신아영 선임연구원, 제1저자 이상희 UST-KRIBB 스쿨 박사과정생, 제1저자 고서린 UST-KRIBB 스쿨 박사과정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부가 소재 생산에 많이 활용되고 있 ... ...
- KAIST, 세계 최대 규모 '암 데이터베이스' 구축동아사이언스 l2024.05.22
- 암세포 이미지. wildpixel/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조직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데이터베이스가 국내에 구축됐다.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는 모든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개별 세포 단위나 3차원 조직 구조상에서 분석한 데이터다. 세계적으로 암에 관한 빅데이터 수집 및 관리가 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